원문정보
The Effect of Worker-to-home Compatibility on the Satisfaction of a Spouse :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Assistance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l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process of the effect of working mother compatibility on spouse satisfaction. To that end, 727 employed workers who were kept samples until the 10th year (2017) were analyzed out of the data from the Korea Children's Panel Surve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for frequency analysis and regularity verification, and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were performed. In addition, the three-step method of Baron & Kenny (1986)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of social support. The results of the verific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advantages of working mothers' work-in-home compatibility have had a static impact on their spouse satisfaction(ß=.164, t=4.078, p<.01). Second, the conflict between working mothers and their families has shown an amulet (-) impact on their spouse satisfaction(ß=-.134, t=-3.438, p<.05). Third, the partial sell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verified in the process of the effect of the factors of conflict and advantages of working mothers on their spouse satisfaction.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compatibility of working mothers with working families suggested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to enhance spous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패널조사 자료 중에서 10차년도(2017년)까지 표본이 유지된 취업모 72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과 정규성 검증을 위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행하 였다. 또한 사회적 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의 3단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요인은 배우자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보였다(ß=.164, t=4.078, p<.01). 둘째,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갈등요인은 배우자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나타냈다(ß=-.134, t=-3.438, p<.05). 셋째,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의 이점요인과 갈등요인이 배우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과정에서 사회적 지원의 부분매개효 과를 검증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취업모의 일・가정 양립이 배우자만족도와 사회적 지원을 높이기 위한 프로 그램의 개발과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모형
2.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3 측정도구
2.4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2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량
3.3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3.4 위계적 회귀분석 검증결과
3.5 매개모형 검증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