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농촌노인의 삶의 만족도 결정요인에 대한 융합 연구 :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onvergence Study on Determinants of Life Satisfaction among Rural Older Adults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Self-rated Health

염지혜, 민영실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variables that directly affect self-rated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ated health on life satisfaction. The study utilized multiple regression to analyze the data obtained from interviewing 169 older adults aged 60 and over in G-gun in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diseases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related health, whereas self-rated economic status and length of exercise time had a positive effect. Second, self-rated economic status, length of exercise time, regular meals, and the number of meals per day positively affect life satisfaction. Third, self-rated economic status and the length of exercise time affect life satisfaction by partially mediating self-rated health, whereas the number of diseases affected life satisfaction by totally mediating self-rated health. Based on the results, policies related to healthcare and provision of meals for older adults have been suggested.

한국어

본 연구는 농촌노인의 어떠한 특성들이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 고 주관적 건강상태를 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G군에서 2015년 조사한 60세 이상 169명을 대상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질병 수는 부(-)적으로, 주관적 경제상태와 운동시간은 정(+)적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주관적 경 제상태, 운동시간, 규칙적인 식사, 하루 끼니 수가 삶의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관 적 경제상태, 운동시간이 주관적 건강상태를 부분매개로, 질병 수는 완전매개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보건 및 식사지원을 기초로 융합된 정책지원을 제언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자 선정 및 자료수집
2.2 측정도구
2.3 분석 방법
2.4 연구윤리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특성
3.2 상관관계
3.3 다중회귀분석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염지혜 Jihye Yeom. 중원대학교 상생교양학부 조교수
  • 민영실 Young Sil Min. 중원대학교 제약공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