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Development and Research on Pottery Glaze Using Soils in Jeju(Volcanic Ash Soils, Non-Volcanic Ash Soil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and suggest the pottery expression with local color by developing pottery glaze using soils, natural material, in Jeju and applying on pottery work. Jeju is an island where various soils is distributed. The reason for the distribution of soils in diverse like this is that Jeju was not created at once, but it had been created by a number of volcanic activities throughout the historical period from Quaternary period. The soils in Jeju consists mostly of volcanic ash, which is pyroclastic debris, and the soils belong to volcanic ash soils accounts for 80% of the total area of Jeju Island. The rest 20% of it consists non-volcanic ash soils. The soils in Jeju can be classified widely into black soil, very dark brown soil, brown forest soil, and dark brown soil by the color of soils. Among them, dark brown soils is non-volcanic ash soils and the three rest of soils are classified into volcanic ash soil. While working in pottery, I found that the glaze, which was made by mixing red soils with a lot of iron oxide and flux such as ash, yakto, and limestone, is called ruddle. It was thought to be possible to make a unique pottery glaze by using Jeju’s soils having high in iron by this way. Therefore, the study set the various soils distributed in Jeju as a research object, focusing on possibility and color formation as a glaze, and conducted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e pottery glaze by the process as follows. The research process is that, first, after examining the creation of Jeju and the characteristics of its soils through the theoretical study, the samples of volcanic ash soils (black soil, very dark brown soil) and non-volcanic ash soils (dark brown soil) were selected and collected. The collected samples were crushed and gone through elutriation process that straining for use as glaze. Second, a total 10 soil samples of volcanic ash soils (black soil, very dark brown soil) and non-volcanic ash soils (dark brown soil) was used for the experiment of glaze development, and it was divided and conducted into the experiment of single taste glaze using only its soils and the experiment on rate changes of flux (limestone). It was burned by electric kiln 4 times at an interval of 10℃ from 1220℃ to 1250℃. Third, the analysis of experiment result was divided into single taste glaze and experiment using limestone as flux and the ideal sample has been derived and suggested. As a result, in case of experiment using soils example with singe taste, the glaze was cracked, broken off, and colored in red overall. Most of them didn’t melt until 1250℃ and there were cracks of soils of Panpori but in the result of 1240℃ and 1250℃, it was melted through a crack and the color showed similar crystal of Tenmoku. In the experiment using flux with limestone, it showed good color and melting condition and had lots of particularity according to changes in the rate of limestone. Among the specimen composed of limestone and soils example at a ratio of 6:4, the regions which have the ideal outcome on soil specimens were Panpori, Dongil-ri, Chungoori, and Doomori. It was observed that they appeared in the ash glaze in the specimens of Dongilri and Chungsoori. In the Chungsoori specimen, it could be observed the unique result like a picture of lake surrounded by trees as the glaze was flowing down and stagnating. The specimens showing ideal results of the specimens created at a ratio of 7:3 were Soosanri, Seonheulri, Doomiru, Dongilri, Jeajiri, and Chungsoori and it was observed various color formations. The color showed the dark brown colors and it was observed the peculiarity of crystals like leopard pattern and skyroglyph. In the specimens of Dongilri and Chungsooro, it showed very unique and distinctive features like marbling effect by flowing glaze on the pinkish color. The experiment result according to using clay, all specimens were very similar in the color but it was observed the color changes variously and brightly in the specimens of ceramic soil and mixed soil applied white porcelain clay and engobe. Lastly, it was sought and suggested that the application possibility of developed glaze made of local materials and pottery expression with local color by applying the glaze to the pottery work in practice.
한국어
본 연구는 제주의 자연재료인 토양을 이용한 도예용 유약개발을 진행하고 도예작업에 적용함으로써 지역 색이 묻어나는 도자표현을 모색하여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제주는 다양한 토양이 분포하고 있는 지역이다. 이렇게 다양한 토양이 분포하는 이유는 제주가 한 번에 만들어진 것이 아닌 신생대 제4기부터 역사시대에 걸친 여러 차례의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제주에 분포하는 토양은 대부분 화산쇄설물인 화산재로 이루어져 있고, 이런 화산회토에 속하는 토양은 제주도 전체 면적의 80%를 차지하며, 나머지 20%가 비화산회토로 이루어져 있다. 제주의 토양은 토색 구분에 의해 크게 흑색토, 농암갈색토, 갈색삼림토, 암갈색토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 암갈색토는 비화산회토이고 이를 제외한 세 개의 토양이 화산회토로 분류된다. 도예작업을 해오면서 산화철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붉은 흙을 재, 약토, 석회석 등의 용융제(鎔融劑)와 함께 사용하여 만든 유약을 발라 소성한 자기를 석간주자기라고 한다는 사실을 접하게 되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여 철분함량이 높은 제주의 토양에 적용한다면 특색 있는 도예유약으로 만들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주에 분포하고 있는 다양한 토양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유약으로의 가능성과 발색에 중점을 두고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도예용 유약 개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과정은 첫째, 이론적 고찰 과정을 통해 제주생성과정과 토양특성에 대하여 알아본 후 화산회토(흑색토, 농암갈색토)와 비화산회토(암갈색토)의 시료를 선정‧채취하였다. 채취한 시료를 분쇄한 후, 유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채로 걸러내는 수비과정을 거쳤다. 둘째, 유약 개발 실험은 화산회토(흑색토, 농암갈색토)와 비화산회토(암갈색토)의 토양시료 총 10가지를 사용하여 토양자체만을 이용한 단미(單味)유약 실험과 용융제(석회석)의 비율 변화를 통한 실험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소성온도는 1220℃부터 1250℃까지 10℃간격으로 총 4회 전기가마로 산화소성하였다. 셋째, 실험결과 분석은 사용 소지별로 구분하여 단미(單味)유약을 사용한 실험과 석회석을 용융제로 사용한 실험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상적 시료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실험결과, 토양시료를 단미로 한 실험은 시유과정에서 유약이 갈라지고 떨어지는 현상과 함께 대체적으로 검 붉은색을 보였다. 1250℃까지 대부분 용융되지 않았고 판포리 지역 토양에서 갈라짐이 있긴 했지만 1240℃와 1250℃의 결과에서 갈라진 틈사이로 용융되어 색상이 천목결정과 비슷한 결정이 관찰되었다. 석회석을 용융제로 사용한 실험은 색채와 용융상태가 좋게 나타났고 석회석 비율변화에 따라 색채에 독특함이 많았다. 토양시료와 석회석을 6 : 4 비율로 조성한 시편 중 이상적인 결과를 보인 지역의 시편은 판포리, 동일리, 청수리, 두모리 지역 토양시편이었다. 동일리와 청수리의 시편에서는 재유에서 나타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특히, 청수리의 시편에서는 유약이 흘러내리면서 안쪽으로 고인 모습으로 나타났다. 7 : 3의 비율로 조성한 시편 중 이상적 결과를 보인 시편은 수산리, 선흘리, 두모리, 동일리, 저지리, 청수리 지역 토양 시편이었고 다양한 발색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색상은 어두운 갈색계열의 색상이 나타났고 호피무늬, 구름형상과 같은 모습과 결정이 나타나는 독특함이 관찰되었다. 동일리와 청수리의 시편에서 핑크빛이 감도는 색상에 유약이 흐르면서 마블링 효과와 같은 아주 독특하고 특색 있는 모습도 나타났다. 사용 소지에 따른 실험결과는 색상 면에서 모든 시편이 크게 비슷하였으나 백색자기토와 화장토를 바른 분청토, 혼합토의 시편에서 색상 변화가 다양하고 밝게 나타나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개발한 유약을 도예작업에 실제 적용해봄으로써, 지역 재료를 활용한 개발유약의 활용가능성과 지역의 특징적인 재료를 통한 도예용 유약을 개발하였다.
목차
Abstract
I. 서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및 범위
II. 이론적 고찰
1. 제주의 형성과 지질
III. 제주 토양을 이용한 유약개발 실험
1. 토양시료채취 및 유약조성
2. 소지(索地) 및 시편 제작
3. 시유(施釉) 및 소성(燒成)
IV. 실험결과 분석 및 적용
1. 소성온도에 따른 용융상태와 분석
2. 개발한 유약의 적용
III. 결론
도표ㆍ그림 목록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