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1

경주 석장동 암각화의 裝飾石鏃文 圖像 분석 - 祖上神像과 관련하여 -

원문정보

An Analysis of Decorative Stone Arrowhead Symbols in Petroglyphs of Seokjang-dong, Gyeongju, Korea - With Regard to Ancestor Worship -

경주 석장동 암각화의 장식석족문 도상 분석 - 조상신상과 관련하여 -

송화섭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Numerous dolmens from the Bronze Age are scattered around the Yeongilman Bay in Korea, where the Kuroshio Current of the south and the Liman Current of the north merge. Petroglyphs surround the bay as well, particularly in the coastal area of Chilpo-ri, Heunghae-eup, in Pohang and the Hyeongsangang River in Seokjang-dong, Gyeongju-si. Yeongilman Bay’s petroglyphs include unique symbols such as stone swords symbols (石劍文), stone arrowhead symbols (石鏃文), and hilt-shaped symbols (劍把形文). Stone arrowhead and sword symbols are seen in many dolmen petroglyphs because they were the most commonly buried items in dolmens. Dolmens around the Yeongilman Bay represent the decorative stone sword culture (裝飾石劍文化) and the cup-mark culture, which entail the creation of holes in the hilts of polished stone swords and the cover stones of dolmens, respectively. The merge between the aforementioned cultures and the petroglyph culture, which spread through sea routes from the Amur River in Yunhaju, resulted in the dolmen petroglyphs. The petroglyphs in Seokjang-dong, Gyeongju, include isosceles triangle-shaped stone arrowhead symbols decorated with diagonal lines as well as figures and faces seemingly depicting ancestral statues. Its resemblance with Sakachi-Aryan petroglyphs, which also include face images and diagonal lines, suggests that the Seokjang-dong petroglyphs were used as an altar for ancestor worship.

한국어

영일만에는 청동기시대 고인돌(Dolmen)이 분포하고 있다. 그리고 영일만은 남쪽에서 쿠로시 오 난류가 올라오고, 북쪽에서 리만한류가 내려와 교차하는 해역이다. 영일만의 흥해 칠포리 해 안지대와 경주 석장동 형산강변에는 암각화가 분포하고 있다. 영일만에는 독특한 석검문(石劍 文), 석촉문(石鏃文), 검파형문(劍把形文) 암각화가 등장한다. 석검과 석촉은 고인돌의 대표적 부 장품이기에, 석검문과 석촉문은 고인돌암각화라 할 수 있다. 영일만 고인돌사회에서는 마제석검 의 검파식에 구멍을 장식하는 장식석검문화(裝飾石劍文化)와 고인돌 덮개돌에 바위구멍을 조각 하는 성혈(cup-mark)문화가 있었다. 이러한 고인돌문화의 기반위에 연해주 아무르(Amur)강 유역의 암각화가 바닷길따라 영일만에 도래하여 고인돌암각화를 발달시켰다. 경주 석장동 암각 화에서 사선문이 장식된 이등변삼각형 석촉문(裝飾石鏃文)이 새겨져 있다. 이 이등변삼각형 석 촉문은 인형상, 인면상 구도를 보여준다. 인형상은 조상신상(祖上神像)을 묘사한 것으로 보인다. 아무르강 유역의 사카치아리안(SakachiAryan) 암각화에 인면상 암각화가 조각되어 있으며, 사 선문 장식의 인면상 암각화가 경주 석장동 인형상 암각화와 닮았다. 따라서 석장동 암각화는 조 상숭배제단(祖上崇拜祭壇)이었을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석장동 암각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
Ⅱ. 영일만 지역의 고인돌(支石墓)은 인도-태평양에서 올라왔다
Ⅲ. 석장동 암각화의 사선문 장식은 어디에서 온 것일까
Ⅳ. 청동기시대 영일만 사람들의 신화적 세계관을 읽다
Ⅴ.영일만 석장동에서 조상신상 암각화가 태동하다
Ⅵ.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송화섭 Song, Hwa Seob. 중앙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