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대학생활 기반 문화 교재 개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mpus Life-Based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for Thos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강소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practical educational materials based campus life for cultural education necessary for thos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to adapt themselves to the campus culture of Korea and improve the leaning competency. As the government has mapped out the policy to attract foreign students at a policy level,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people who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among the students entering domestic university. However,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there was the adverse effect, considering that many peopl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showed sluggish academic performance or dropped out right after they entered domestic universities, raising the concern. Therefore, campus life-based cultural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separately, so that people who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can understand the norms, mode of conduct, and custom which they have to observed, a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conducive to promoting systematic cultural education based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practical and useful in light of the characteristics and level of learners. We examined current situations and problems through analysis with existing studies and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and conducted the analysis of requirements and needs of learners and professors, thus exploring the basic course for improvement that could be achieved when the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were developed. For successful educational culture, the campus life-based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may be developed for thos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in the following way: First, the education integrating the cultural education and linguistic education should be pursued while organizing each unit by taking the content-based approach on the basis of campus life. Second, the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allow for the academic activities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Third, the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be practical educational materials that can provide motivation to learners. Fourth, educational materials should present the activities comparing the culture so as to help build the critical thinking of culture and expand the ability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rough the learning of culture. Fifth, the educational materials suited for the level of learners should be developed, and furthermore, the stage of evaluation that assesses the level of understanding after cultural learning would need to be presented together. Based on aforesaid principles, this study organized and presented the learning items corresponding to a total of 8 units, along with the actual cases of contents for each uni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organized practical teaching items and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development of campus life-based cultural educational materials. Through that, learners can learn practical cultural details based on more systematic process, which would lead to minimization of burden on their teachers and promotion of efficient cultural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의 대학 문화에 안정적으로 적응하여 학업 수행 능력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문화 교육을 실행하기 위하여 대학생활 기반의 실용적인 문화 교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있다. 정부 정책의 일환으로 외국인 유학생의 유치를 확대하는 제도가 마련되면서 국내 대학에 진학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조사 결과에 따르면 많은 수의 학습자들이 국내 대학 진입과 동시에 학업 부진이나 중도 포기하는 부작용이 발생하여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때문에 한국의 대학 사회 내에서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이루기 위해서는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로서 반드시 지켜야 하는 규범이나 행동 양식, 관습들을 이해할 수 있도록 대학생활 기반의 문화 교육이 별도의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교재 개발까지 이어져 체계적인 문화 교육의 환경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고는 학습자의 특성과 수준을 고려하여 실제적이고 유용한 문화교재 개발에 관해 논의하였다. 기존 연구와 문화 교재 분석을 통해 현황과문제점을 고찰하였고,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분석을 실시하여 문화 교재개발 시 어떤 점들이 새롭게 보완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모색하였다. 성공적인 문화 교육을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대학생활 기반의 문화 교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첫째, 대학생활 기반의 주제중심 접근법(Content-based Approach)을 바탕으로 단원을 구성하되, 문화 교육과 언어 교육의 통합 교육을 지향해야 한다. 둘째, 학문 목적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문적 활동들을 수반하는 교재여야 한다. 셋째, 학습자에게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실제성이 있는 교재여야 한다. 넷째, 문화 학습을 통해문화에 관한 비판적 사고를 키우고,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문화 비교 활동이 제시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교재를 개발해야 하며 문화 학습 이후 이해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평가 단계를 함께 제시해야 한다.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총 8과에 해당하는 교수요목을 구성하여 제시하였으며 단원에 따른 내용 구성을 실례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활 기반의 문화 교재 개발을 통해 실제적인 교수요목과 교육내용을 구성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보다 체계적인 과정 속에서 실제적인 문화 내용을 학습할 수 있으며, 그들을 가르치는 교사의 부담도 최소화되어 효과적인 문화 교육을 진행할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목차

국문 요약
1. 머리말
2. 대학생활 기반 문화 교재 개발을 위한 자료 분석
3. 대학생활 기반 문화 교재 개발의 원리 및 실제
1) 교재 개발의 구성 원리
2) 교재 구성의 실제
4.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소영 Kang Soyeong. 한국교통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