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초등학교 3, 4학년 사회 및 도덕 교과서의 다문화 단원 내용 분석 - 다문화 현상의 묘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on ‘Multiculture’ Descriptions of Social Studies and Morals Textbooks in Primary School

구정화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multiculture descriptions by extracting multiculturalelated units from third and fourth grade textbooks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analysis criteria were defined and analyzed for four reasons: “Analysis of the characters,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ption of migrants, relation between migrants and Korean culture, and reason for respecting multi-cultur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emergence of everyday subculture groups as well as immigrants and foreigners, it describes a multicultural aspect in a broad sense. Second, the description of migrants or foreigners appears to emphasize civil identity more than ethnic identity or cultural identity. Third, the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migrants and Korean society is described in terms of mutual culturalism or multiculturalism. Fourth, the reasons for respecting multiple cultures are evenly reflected in the aspects of stability and development of society, the aspects of cultural relativism, and the aspects of the rights of migrants. Considering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etter ways to describe multicultural society in textbooks.

한국어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사회 및 도덕 교과서(3, 4학년)의 다문화 단원 에 묘사된 다문화 현상의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등장인물의 집단 특징, 이주배경 집단의 특징, 한국 사회와 이주배경 집단 문화의 관계, 다문화 인정 이유’라는 네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단원에서는 이주민이나 외국인 등의 이주배경 집단 이외에도 성별이나 연 령 등 일상적 문화 하위집단이 등장하여서, 넓은 의미의 다문화 현상을 묘사하고 있다. 둘째, 이주배경 집단에 대해서는 그들의 피부색을 고려한 종족적 요인이나 일상문화를 활용한 문화적 요인보다는 그 들의 국적을 고려한 시민적 요인에 의한 묘사가 더 많이 나타난다. 셋째, 한국사회와 이주배경 집단 문화의 관계는 상호문화주의나 다문화주의 관점을 반영하여 묘사하고 있다. 넷째, 다문화 인정 이유에 대해서는 사회의 안정과 발전 측면, 문화 상대주의 측면, 이주배경 집단의 인권 측면이 고루 반영되어 묘사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더 나은 다문화사회를 위해서 이주배경 집단의 묘사에서 시민적 요인보 다는 문화적 요인을 고려한 묘사, 다문화 인정 이유에서는 문화 상대주의와 이주배경 집단의 인권을 강조하는 묘사를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참고 문헌≫

저자정보

  • 구정화 Koo, Jeonghwa. 경인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