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지역 성평등 수준과 영향요인

원문정보

Regional Gender Equality Levels and Influencing Factors

김학실, 최영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per is an analysis about factor affecting regional gender equality levels. Korea government has evaluated on regional gender equality levels to increase gender equality from 2012. This paper selected regional gender equality as dependent variable and 5 factors(number of gender ordinance, number of NGO, number of women volunteer, ratio of social group, ratio of women friendly city)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QCA that can be applied to a few cases. The result from research came out 3 groups. First group is many ordinance, small number of ngo, high ratio of women volunteer, and high ratio of volunteer participation(Busan, Incheon). Second group is a few ordinance, a few of ngo number, high ratio of women volunteer and low ratio of women friendly city(Daegu, Ulsan). Third group is many ordinance, a few of NGO number, low ratio of volunteer participation, high ratio of women friendly city(Gwangju, Daejeon, Jeju). Other regions occurred the same condition, but the results were contradictory. The insight of this research is if local government choose the most similar type to attain regional gender equality. Then the local government is going to fulfil high gender equality levels.

한국어

본 연구는 지역성평등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지역별 성평등 수준을 평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종속변수로서 지역성평등수준, 독립 변수로 5개 요인(여성관련자치법규 수, NGO 단체 수, 여성자원봉사자 비율, 사회단체 참여율, 여 성친화도시율)을 추출하였다. 분석방법은 소수의 사례에 적용할 수 있는 QCA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3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제 1유형은 자치법규가 많고, nog 수는 적으나, 자원봉사 여 성비율이 높고, 자원봉사 참여율이 높은 유형 (부산, 인천)이다. 제 2유형은 자치법규 수는 적고, NGO 수도 적으나 자원봉사 여성참여율이 높고, 여성친화도시비율이 낮은 유형 (대구, 울산)이다. 제 3유형은 자치법규수가 많고 NGO수는 적고, 자원봉사참여비율이 낮고, 여성친화도시비율이 높 은 유형 (광주, 대전, 제주)이다. 나머지 자치단체의 경우는 조건은 같으나 결과가 다른 모순적인 상황이 발생한 경우(contradictory)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함의는 지역별 성평등 수준을 향상 시키기 위해서는 각각의 자치단체가 가장 달성하기 유사한 유형을 선택하여 조건을 맞추어주면 향후 높은 성평등 수준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성평등 지수 체계와 영향요인
1. 성평등 지수 구성에 대한 논의
2. 우리나라 성평등 지표 체계와 구성
3. 성평등 영향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Ⅲ. 조사설계
1. 변수선정
2. 분석 방법
Ⅳ. QCA 분석을 통한 성평등 영향 요인 분석
1. 변수값의 일반적 현황
2. 변수들의 이분화(dichotomization)
3. 진실표 분석
Ⅴ. 분석의 함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학실 Kim, Hak Sil. 충북대학교
  • 최영출 Choi, Young-Chool. 충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