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장소성 강화를 위한 ‘안동포마을’ 공간스토리텔링

원문정보

‘Andongpo Village’ Spatial Storytelling for Strengthening of Its Placeness

배진희, 권기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rediscover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Andongpo Village to strengthen its placeness through spatial storytelling. It draws the placeness of the traditional village which retains the traditional way of life and the culture of hand-weaving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alysis of strengthening of placeness cases in the past and analysis of the village environment and cultural resources to understand the general context of the village. To this end, the theme of spatial storytelling was set as 'the breath of a thousand years', and sub-themes for more specific details were set as 'dedication', 'sharing',‘memory', 'meeting', 'health', and 'harmony'. It allowed Andongpo-po Village to become a place where traditional culture, creativity and assets of placeness co-exist thus enabling it to produce new contents, which was achieved by assigning appropriate space to each of the sub-themes, making reproduction and creation of a story based on the connection possible. In addition, the study developed a detailed program to enable visitors to become main agents who experience and complete the placeness of the village. As result,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ncrease in the brand value of Andongpo Village, the living standard of its residents and the number of tourists.

한국어

본 연구는 안동포마을의 의미와 가치를 재발견하고 장소성 강화를 위해 공간스토리텔링한 것이다. 이론적 고찰, 장소성 강화 선진사례 분석, 마을 환경과 문화자원 분석을 통해마을의 맥락을 파악하고 전통 삶의 방식과 길쌈문화가 담긴 전통마을의 장소성을 도출하였다. 그에 따라 공간스토리텔링의 주제를‘천년의 숨결! 천년의 노래!’로 설정하고 구체화를 위한 테마로는 ‘헌신ㆍ나눔ㆍ추억ㆍ만남ㆍ건강ㆍ화합’으로 설정하였다. 또 설정된 각각의 테마에 부합한 공간을 연결하고 이를 기반으로 이야기를 재현하거나 창조함으로써 안동포마을은 전통문화의 창조성과 장소적 자산이 공존하며 새로운 콘텐츠를 재생산할 수있도록 하였다. 또한 방문객은 장소성을 체험하고 완성해 가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세부적인 운영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안동포마을 브랜드가치 및 주민 삶의 질이 향상되고 관광객 증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전통마을의 가치
2. 길쌈문화와 안동포
3. 장소성(placeness)과 공간스토리텔링
Ⅲ. 장소성 강화의 선진 사례 분석
1. 쯔와노마을 : 일본의 작은 교토
2. 시라가와 : 일본의 전통 마을
3. 고성 왕곡마을 : 옛 것 그대로 시간이 멈춘 곳
4. 하회마을 : 한국의 미와 전통이 살아있는 역사마을
5. 종합 시사점
Ⅳ. 안동포마을 분석
1. 환경 분석
2. 자원 분석
3. 공간 분석
4. 잠재가치 및 종합 시사점
Ⅴ. 장소성 강화를 위한 공간스토리텔링
1. 공간스토리텔링 적용 과정
2. 공간스토리텔링 적용의 실제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배진희 Bae, Jin-Hee.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겸 문화산업연구소, 박사과정 겸연구원
  • 권기창 Kwon, Gichang.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