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청허휴정(淸虛休靜) 선시(禪詩)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Zen Poetry by Cheongheo Hyujeong

원법스님(권동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Zen poetry by Hyujeong in the three categories of 'Zen and Poetry Are One.' The first category is Seonsisangjeuk, which means that Zen is poetry, and poetry is Zen. All the poems in this category contain the duty of Zen called specialty. They express the essence of Zen represented by Jikjiinsim and Ieonjeolryeo with such rhetoric as straight judgment, symbol, paradox, and figure of speech. Here Hyujeong claimed to advocate the specialty duty of Zen called Muwuijinin. The second category is Jaedojigi, which means that poetry is an instrument to contain dharma or Buddhist teachings. Poems in this category show Cheongheo's opinions and training methodologies about Zen, Gyo, and Buddhist prayers with explanations. As for their characteristics, they are in a narrative structure with Yongsa and Jeongo. Their form is maintained with the combinations of repeating poetic words and the place of realization at the end of a passage. These poems talk about agreement between Zen and Gyo and between Zen and Buddhist prayers, as well as Sammunsueop. The last category is Sijungyuhwa, which means poetry creation like painting to depict natural features in landscapes. Poems in this category show life in the mountains based on Seonchui. As for their expressive patterns, they highlight the clean and clear taste through the contrast and rhyming couplets of vision and hearing. Here, Hyujeong's Seonchui is leisurely. Hyujeong's Zen poetry is the inheritance of Zen poetry literature from the previous period, the rich blossom of Zen poetry literature in his time, and a stepping stone to transmit the Zen poetry culture to the following period. His poems about life in the mountains are, in particular, the priming water to open up the path toward the creation of pure poetic literature among Buddhist monks in the latter part of Joseon.

한국어

이글에서는 휴정의 선시를 선시일여(禪詩一如)의 세 가지 범주로 고찰하였다. 첫째, 선이 곧 시요, 시가 곧 선이라는 선시상즉(禪詩相卽)의 범주이다. 이러한 범주에 속하는 시들은 모두 격외(格外)의 선 도리를 담고 있다. 직지인심(直指人心), 이언절려(離言絶慮)라고 표현되는 선의 본질을 직절, 상징, 역설, 비유의 수사를 통해 드러내었다. 이때 휴정이 표방하는 격외의 선 도리는 무위진인(無位眞人)이다. 둘째, 시가 불법이나 가르침을 담아내는 도구라는 재도지기(載道之器)의 측면이다. 이들 시작품은 선과 교, 염불에 대한 청허의 견해와 수행 방법론 등을 설명하듯이 보여준다. 특징은 용사(用事)와 전고(典故)를 사용하여 서술형 구조를 갖추고 있으되 반복된 시어의 조합, 꾸미지 않은 듯한 대구, 압축적인 시어, 말구(末句)에서의 선 도리의 표출로 시화(詩化)하였다. 선과 교, 선과 염불의 일치와 삼문수업(三門修業)을 읊고 있다. 셋째, 산수 간의 경물을 그림 그리듯 작시(作詩)하는 시중유화(詩中有畵)의 갈래이다. 이들 시는 선취(禪趣)로 산거(山居)하는 모습을 읊는다. 표현 양상은 시각과 청각 등의 대비와 대구를 통해서, 청허한 맛을 살렸다. 이때 휴정의 선취(禪趣)는 한가로움[閑]이다. 휴정의 선시는 이전 시대 선시문학의 계승이요, 당대 선시문학을 풍성하게 꽃피웠음이요, 이후 시기 선시문학 전승의 징검다리이다. 특히 산거시는 조선후기 승려들의 순수 시문학 창작의 길을 여는 마중물이 되었다.

목차

국문 초록
Ⅰ. 머리말
Ⅱ. 선시상즉(禪詩相卽)의 격외시(格外詩)
Ⅲ. 재도지기(載道之器)의 설리시(說理詩)
Ⅳ. 시중유화(詩中有畵)의 산거시(山居詩)
Ⅴ. 맺음말 - 휴정선시의 특징과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원법스님(권동순) Kwon, Dong-Soon(Ven. Won-Bub). 조계종 교육아사리, 운문사 승가대학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