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신앙-학업 관계유형을 위한 이론과 신앙-학업 “통합유형”의 실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Theory for the Types of Faith-Study Relations and the Practice of Faith-Study “Integration Type”

김성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need to find out the reason for the sharp drop in the sad reality that students are dropping in church school in South Korea. There is a phenomenal factor, a decrease in population, and a social factor, a decline in the prestige of Korean churches. However, if we enter the center of students’ lives, especially the reality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f the church, we can find that their study is an important reason for the sharp drop in the church school. They can not go to church because they should go to the private institutes, prepare for the exams, and continually study in their homes. Even if students want to go to church, their parents make “study” a priority, so they have no choice but to study first. In such a situation, some says “let’s make a private institute in a church to solve the problem” for a joke. Students in church schools are wander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study. In many cases, even students with faith regard it as a mean or a tool for study.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find out what kinds of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study are. Specifically, I have divided “faith and study relations” into the four types by using Sethia and Glinow’s theory, and I have believed that the “integration typ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study is the ideal type. Thus, emphasizing the “Growth needs” in Alderfer’s “Existence-Relatedness-Growth Theory” and the three factors, “fear of God,” “honest efforts,” and “glory and praise to God,” in the Bible, this paper presented an educational model of faith-study “integration type” that can be applied to the Christian educational fields. This paper presented the ideal relationship between faith and study, and provided the opportunity to continue to create practical educational curricula regarding faith-study “integration type.”

한국어

한국교회 교회학교에 아이들이 급감하고 있는 안타까운 현실 속에서 급감하고 있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찾아보아야 한다. 인구감소라는 현상적인 요인도 있을 것이고, 한국교회 위신 하락이라는 사회적인 요인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아이들 특히 중, 고등부 학생들의 현실 중심에 들어가 보면 학업의 요인이 크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학원 가느라 교회에 못 나오고, 시험 기간이라 교회에 못 나오고, 학원 보충이 겹쳐서 교회에 못 나온다. 설령 아이들은 교회에 나오고 싶어도 부모가 학업을 우선으로 여기기 때문에 학업을 먼저 선택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교회 안에 학원을 만들어야 문제가 해결될 거 아닐까 라는 우스갯소리 방안도 나온다. 이뿐만 아니라, 교회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은 신앙과 학업의 관계 안에서 방황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신앙이 학업에 밀리거나, 혹 신앙을 철저히 가지고 있는 아이들조차도 신앙을 학업을 위한 수단, 도구로 여기는 경우들이 많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신앙과 학업의 관계유형이 어떻게 되는지를 찾아보려고 노력했다. 구체적으로 Sethia와 Glinow의 “문화유형론” 이론을 가지고 신앙-학업의 관계유형을 4가지로 나눠보았고, 그중에 신앙-학업 “통합유형”을 이상적인 유형으로 보았다. 그다음 Alderfer의 “생존-관계-성장이론”에서 “성장욕구”에 강조를 두고, 성경에서 발견한 “하나님 경외,” “정직한 노력,” “하나님께 영광과 찬송”이라는 요소를 가지고 기독교교육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신앙-학업 “통합유형”의 교육 모델을 제시해보았다. 본 논문은 신앙과 학업의 이상적인 관계성을 제시했고, 이에 따르는 실제적인 교육 커리큘럼들을 계속 만들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기독교교육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목차

한글 초록
I. 들어가는 말
Ⅱ. 바람직한 신앙-학업 관계유형을 위한 이론적 근거
1. Alderfer의 “생존-관계-성장이론”
2. Sethia와 Glinow의 문화유형론
3. 신앙-학업 관계유형
4. 성경 안에서 찾는 신앙-학업 관계의 요소
Ⅲ. 신앙-학업 “통합유형”의 실제
1. 교육목표
2. 교육내용
3. 교육방법
Ⅳ. 나오면서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성중 Sung-Joong Kim. 장로회신학대학교/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