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明版本 「二程全書」의 17세기 조선 및 일본에서의 수용 양상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Acceptance Phase of Erchengquanshu-Ming Edition in Joseon and Japan in the 17th Century

명판본 「이정전서」의 17세기 조선 및 일본에서의 수용 양상 연구

李裕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bout book exchange in the East Asia in the 17th Century by Erchengquanshu (二程全書) published in Ming period. This book is about Chenghao (程顥) and Chengyi (程頤)’s quotation that had been recorded by their students or a collection of works and so on. It had been published since Song (宋) period because they established theoretical basis for the doctrines of Chu-tzu (朱子學). But It was Ming period Chenghua (成化) in 1476 that was first published in the form of collection, and It was six times to publish during Ming period at least. These six editions differ in included chapters and part of text each other. Among those, there are two editions published in Joseon until the 16th Century. Meanwhile, Japan began to be accepted doctrines of Chu-tzu in the 17th century. And this Ming edition published by Xubida (徐必達, 1562-1645) in 1606 had been introduced to Joseon and Japan each. And this book was accepted by publishing or holding by an individual or the government services in each country. But it was different publisher between Joseon and Japan. in the case of Joseon, It was government, but in Japan, it was the publishers. Therefore, This ming edition is valuable as research material for study about the book exchange in the East Asia in the pre-modern period.

한국어

이 연구는 17세기가 동아시아 삼국 모두 성리학을 수용하고 있었던 시기였다는 점에 주목하여, 명판본 「二程全書」 가 조선과 일본에 각각 수용된 양상을 서적교류사적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程顥 및 程頤의 학문은 성리학 성립에 큰 토대가 되었다는 점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이에 그들의 어록과 문집 등은 송대부터 간행되어 유통되었다. 그러나 주희가 죽은 후 성리학의 방향은 실천에 초첨이 맞춰지는 한편, 과거제로 인해, 성리학의 이론적 연구는 깊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로소 成化 연간(1465-1488) 이후에야 출판이 다시 활성화되면서 그동안 간행되지 않았던 경서 를 비롯한 유학서, 고전 등이 재간되었다. 「이정전서」는 1476년에 처음 편찬 및 간행되어, 적어도 6차례 간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그 중 일부가 16세기 조선에서 간행되기도 하였다. 17세기에는 1606년에 徐必達이 校刊한 판본이 조선과 일본에 각각 전해져 수용되었다. 조선에서는 원본이 소장되거나, 번각되거나, 기존 유통 판본의 내용에 없는 내용만 보완하는 방식으로 간행되거나 하여 개인 및 관청에서 수용되었다. 일본에서는 상업 출판으로 간행되었는데, 에도 후기에는 관학인 昌平坂學問所에도 소장되기도 하였다.

목차

<초 록>

1. 緖論
2. 명대 「二程全書」의 편찬과 간행
2.1 명대 「이정전서」의 간행
2.2 명판본 「이정전서」의 체제 변화
3. 17세기 조선 및 일본에서의 수용 양상
3.1 조선에서의 수용
3.2 일본과의 수용 양상 비교
4. 結論
<참고문헌>
[부록] 본고 대상 「二程全書」 刊本 목록(간행시기 순)

저자정보

  • 李裕利 이유리. 문화재청 인천항문화재감정관실 문화재감정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