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Statistical Estimation of Forest Fire Precaution Periods

원문정보

통계 분석을 통한 산불조심기간 추정

Sun Kyung Ryu, Hee Young Ahn, Sung Yong Kim, Byung Doo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limited resources for fire-fighting and prevention, it is important to set a forest fire precaution period by considering the temporal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 occurrence and spread. In this study, the forest fire precaution periods were suggested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of the national fire statistics data from 1991 to 2018. Multiple, ridge, and Lasso regression analyses were applied to identify the monthly (or 10 days) linear trend of fire occurrences, while k-means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select the precaution period. The fire occurrences in January, June, August and November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over time, whilst those in March, April and May remained high without fluctuation over this period. The results suggest the extension of the fire precaution period in South Korea from 5 months (Spring: February 1 to May 15, Autumn: November 1 to December 15) to 8 months from mid-October to mid-June. This results from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statistical evidence for readjustment of forest fire precaution period in South Korea.

한국어

한정된 예방, 진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올바른 산불조심기간 설정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91년부터 2018년까지 28년간의 산불통계자료를 활용하여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산불조심기간을 추정하였다. 분석을 위한 시간단위는 월 또는 순이다. 산불 건수의 선형 변화를 살펴 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능형회귀분석, LASSO를 이용하였고, 산불조심기간을 선정하기 위해 K-means 군집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1월, 6월, 8월, 11월의 산불건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산불이 집중 발생하는 3~5월은 선형적인 증감 없이 지속적으로 높은 발생 수준을 유지하였다. 현재 5개월(봄철 2월 1일 ~ 5월 15일, 가을철 11월 1일 ~ 12월 15일)인 산불조심 기간을 약 8개월(전해 10월 중순 ~ 다음해 6월 중순)까지 연장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산불조심기간을 재설정하는 데 통계적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통계자료 및 분석 방법
1. 월, 순별 산불 건수의 변화
2. 산불조심기간 추정
Ⅲ. 결과 및 고찰
1. 기초통계
2. 월, 순별 산불 건수의 변화
3. 산불조심기간 추정 결과
IⅤ.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Sun Kyung Ryu Department of Statistics, University of Seoul,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Hee Young Ahn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Sung Yong Kim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 Byung Doo Lee Division of Forest Disaster Managemen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