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Place Branding of Ocean Tourism Content in Baengnyeongdo Island
초록
영어
In this study, Baekryeongdo and Daecheongdo Island in Ongjin-gun, Incheon. In order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of national territory in the Socheong Island area and provide a turning point for comprehensive development of the West Sea economic bloc, we recognize the need to develop maritime transportation hubs in the Korea-China western sea economy from a macro perspective. In order to establish strategies for developing branding of marine tourism sites in Baengnyeongdo Island, eight marine and marine experts from Incheon-based universities, including tourism professors, shipping industry, port development, trans-sea industrial economy, and port technology engineering, participated in the survey of FGI (Focus Group Interview) in October 2019 to establish branding strategies for marine tourism sites in the Baekryeong area. By studying the status of marine tourism on Baengnyeongdo Island, the importance of geographical location and the operation of ships on Baengnyeongdo Island were reviewed, the status of Greece's ATTICA Group was discovered as a similar case in the development of routes, and the research on the Caféri route, a major international passenger ship in the world, examined internationally developed trade routes. In conclusion, it is to develop Baengnyeongdo Island as a central port for future maritime trade in the Yellow Sea by policy-making of China visa-free, free trade zone, maritime transport logistics system in the Yellow Sea, and North Korea-China passenger transport hub in order to establish a strategy for branding places in the maritime tourism industry. As a practical suggestion, Baengnyeongdo can become a attractive place brand with a high potential for global lighting, such as the creation of tourism valves in the Yellow Sea region, the promotion of human.
한국어
본 연구는 인천시 옹진군의 백령도, 대청도. 소청도 권역의 국토 균형발전을 도모하고 서해 경제권의 종합적 발전을 위한 전기 마련하기 위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한-중 서해경제권 해상교통 거점 개발의 필요성에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 백령도 해양관광 장소 브랜딩 개발 전략 수립을 위하여 인천 소재 대학의 관광학 교수, 해운산업, 항만개발, 환황해권 산업경제, 항만기술 엔지니어링 등 해양수산전문가 8명이 참석하여 2019년 10월경 FGI 조사를 통하여 백령권 해양관광산업 장소 브랜딩 전략 수립을 구체화 하였다. 백령도 해양관광의 현황 연구로 백령도 해양관광의 현황으로 지정학적 위치의 중요성과 백령도의 선박 운항 실태를 살펴보고, 항로개발 유사사례로 그리스 ATTICA Group 현황을 발굴하였고, 세계 주요 국제여객선 카페리 항로 연구 발굴에서는 국제적으로 공동개발한 교역로를 조사하였다. 결론적으로 백령권 해양관광산업 장소 브랜딩 전략 수립을 위하여 중국 무비자, 자유무역지대화, 환 황해권 해상교통물류 체계 정책화, 북한-중국 여객환승 거점화를 정책화 하여 백령도를 미래의 황해권 해상교역 중심항으로 개발하는 것이다. 실무적 시사점으로 백령도는 브랜딩 전략과 장소적 차별화를 통하여 환 황해권 관광밸트 조성, 인적교류 증진, 남북 간 평화해역 조성 등으로 세계적인 조명과 관심을 받을 가능성이 높은 매력 있는 장소 브랜드가 될 수 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고찰
2.1. 장소 브랜딩(Place Branding)의 개념
2.2. 섬 관광 목적지의 특성
2.3. 서해5도 관광객 증가 추이 및 관광형태
3. 백령도 해양관광산업의 현황과 동향
3.1. 백령도 해양관광의 현황
3.2. 항로개발 유사사례 발굴
3.3. 세계 주요 국제여객선 카페리 항로 현황
4. 백령도 장소차별화 강화방안 전략 제안
4.1. 중국인 해외관광객 수요 잠재력 분포
4.2. 환 황해권 해상교통물류 체계 정책화
4.3. 북한의 개방에 대비한 해운항만 협력방안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