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실담범자(悉曇梵字)와 금강비례(金剛比例)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Siddham Script and Gumgang Ratio

왕용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ddham script has developed from the Gupta script around the 6th century. It is a text that has been used by Buddhist culture circles until today after it entered China during the Tang Dynas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Geumgang ratio with Golden ratio, grasp the aesthet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eumgang ratio, and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Geumgang ratio and font design. The research method is to investigate relevant previous studies, analyze the basic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iddham script,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eastern and western proportions were discussed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Siddham script and Geumgang ratio. The formation of aesthetic consciousness depends on time and space. The proportion perception of East and West, mostly from the friendly proportion shown in natural phenomena, which was a characteristic commonly cited in modern society. The Geumgang ratio is the beautiful ratio, the stable ratio, the efficient ratio. The Geumgang ratio appears in Siddham script. The Geumgang ratio has important reference value in font design. In addition, it is also useful in modern industrial production.

한국어

실담범자는 산스크리트어를 표기하는 브라흐미(Brāhmī)문자 계통 하에 한 가지 문자로서 6세기경 굽다(Gupta)문자에서 발전하였다. 이는 당(唐)나라 때 중국에 유입한 후 오늘 날까지 불교문화권에서 사용하고 있는 희귀 문자이다. 본 연구목적은 금강비례(金剛比例)와 황금비를 상호 특성을 비교하며 그중 금강비례의 심미성과 형태적 특성을 파악하고 실담범자 폰트디자인과의 관련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관련 선행연구를 고찰, 실담범자의 기본형태 특성을 분석하며, 동서양의 비례 조형성을 탐구하고, 그중 금강비례에 집중하여 실담범자와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비례는 심미성을 연출시키는 중요한 요소인데 금강비례는 황금비와 같이 규칙적 비례로서 아름다움과 안정감을 가진 효율적 비례이다. 이런 심미성에 대해서는 동서양 인식 차이가 다소 있겠지만 서양에서 황금비가 미의 객관적 표준이 되면서 동양에서도 일반적인 심미성의 표준으로 발전된 경향이 크다. 그러나 금강비례는 동양사회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비례로 아름다움과 안정된 형태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문화적 역사성에 나타나고 있다. 특히 실담십팔장(悉曇十八章)의 모든 글자가 중첩하면 외곽모습이 금강비례와 접근하고 구조적으로도 금강비례와 일치하기 때문이다. 실담범자는 표음문자이며 글자 요소들이 연합, 연결하며 조합하는 글자로서 현대사회에서 예술 소재로 사용된 현상이 적지 않다. 이는 심미의식의 형성은 시간과 공간에 의존함을 보이는 실증이라 하겠다. 동서양의 심미적 비례인식이란 대부분 자연현상에서 나타난 친근한 비례에서 출발되었고 이는 현대사회에서 공통적으로 인용되고 있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부분의 실담범자는 금강비례를 내포하고 있기에 현대사회에서 활용될 수 있는 폰트디자인 수행에서 참고할 만한 비례이다. 이를 통해 현대사회에서의 실담범자의 활용은 문화, 산업적으로 높은 인류문화자산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연구 범위 및 방법
2. 실담범자의 고찰
2.1. 역사적 배경
2.2. 기본구성 및 구조특징
2.3. 실담범자의 가치
3. 비례와 심미성 및 금강비례
3.1. 비례와 심미성
3.2. 금강비례의 의미
3.3. 동서양의 비례 인식
3.4. 금강비례의 특성
4. 실담범자를 비례적 분석
4.1. 실담범자의 외곽모습 특징
4.2. 개별 심담점자의 비례분석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왕용군 Wang Longqun. 한양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