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디자인 유형에 따른 어포던스 적용 차이 연구 - UI 디자인과 Package 디자인의 비교 연구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Difference of Applied Affordance by Design Type -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UI Design and Package Design -

김나영, 권예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Donald Norman first applied Gibson's concept of affordance to UI design, affordance has been considered one of the elements for good UI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ethod of applying the affordance by types of design through case studies, and second, to find the appropriate method of applying the affordance for each design type. Psychologist Donald A. Norman took Gibson's concept of affordance, developed it into perceived affordance, and applied it to design. The application of cognitive science to design is based on the concept of affordance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rchitecture and product design.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concept of affordance is actively studied in the field of UI,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but in the package design field prior studies have not been made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possibility of new ideas by types of design, especially in UI design and package design through the adaptation of affordance. In other words, the study attempts to find the method to apply affordance in design effectively and to expand the diversity of communication between human and design by adding cognitive information to design.

한국어

도널드 노먼이 깁슨의 어포던스 개념을 처음 UI 디자인에 적용한 이래 어포던스는 좋은 UI 디자인을 위한 필수 요소 중 하나로 간주되었다. 본 연구는 어포던스 개념이 디자인에 적용될 때 텐저블한 미디어와 인텐저블한 미디어인 디자인 유형에 따라 어포던스 적용 방법에 차이가 있는지를 사례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 각 디자인 유형에 적합한 어포던스 적용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어포던스를 디자인적 사고로 적용한 심리학자 도널드 노먼(Donald A. Norman)은 깁슨의 어포던스 개념을 받아들여 ‘지각된 어포던스’로 발전시키고,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인지적 측면에 대한 디자인 적용은 심리학을 기본으로 건축·제품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어포던스 개념을 기반으로 한다. 조사한 바에 따르면 UI 및 건축과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에서는 어포던스 개념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나 Package 분야의 선행연구는 아직 많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UI 디자인 및 Package 디자인에 있어서 미디어별 새로운 발상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행위 가능성에 대한 이해뿐 아니라 그 가능성이 전달되는 방법적인 측면을 보다 강조하여 어포던스 개념을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인지적 정보를 디자인에 부여함으로써 디자인과 인간의 소통 다양성을 확대하고자 한다. 디자인의 형태 부여에 있어 조형적인 측면 외에 인간의 인지적 측면을 이해하고 이를 디자인에 적용하고자 한다. 인간의 인식과 지각이 어떤 행위를 유발한다는 어포던스 개념을 UI에 적용된 원칙(Principle)을 기준으로 Package 디자인에 적용함으로 제품은 제품을 사용하고 구매하는 사람들과 새로운 관계를 설정하게 된다. 인간의 인지(Cognition)와 경험의 보편성을 바탕으로 특정한 행위를 유발하는 디자인을 창안하고, 이를 디자인 전반적인 분야에 적용하여 그 표현 영역을 확대하고자 한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어포던스(Affordance)의 개념
2.1. 어포던스 이론
2.2. 디자인 유형별 어포던스 적용 방법
3. 디자인 유형별 어포던스 적용 사례
3.1. UI 디자인의 어포던스 적용 분석사례
3.2. 패키지디자인의 어포던스 적용 분석사례
4. 디자인 유형별 어포던스의 분석을 통한 방향성
5. 결론 및 향후 연구 방향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나영 Kim Na Young. 홍익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 권예은 Kwon Yea Eun. 홍익대학교 대학원, 시각디자인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