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상사의 권력거리성향이 종업원 비윤리적 친조직행동과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와 직무열의의 조절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Supervisors' Power Distance Orientation on Employees' Unethical Pro-Organization Behavior and Somatization :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and Moder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정유림, 정은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influence of supervisor's power distance inclination on employees' unethical pro-organization behavior and somatization, and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s power distance propensity and unethical prosocial behavior and somatization. It was. Finally, the moderating effects of job engagement were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unethical pro-organization behavior, and somatization. A total of 336 office worker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the power distance tendency of the bo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unethical pro-organization behavior, somatization, and stress. Stress has been shown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boss's disposition to power, unethical pro-organization behavior, and somatization. Job engagement was found to control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unethical pro- organism behavior and somatiz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is study was the first to reveal that supervisor's PDO affects employee's UPB, stress, and somatization, and there was a theoretical implication that the negative aspects of job engagement were identified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research. Includ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the supervisor's PDO, which has not been noticed so far, needs to be considered in employee behavior and stress management, and that there is a need to pay special attention to employees with high job engagement in employee management and placement.

한국어

본 연구는 상사의 권력거리성향이 종업원의 비윤리적 친조직행동과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상사의 권력거리성향이 종업원의 비윤리적 친조직행동과 신체화 간의 관계에서 종업원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스트레스와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신체화 간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직장인 총 336명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상사의 권력거리성향은 종업원의 비윤리적 친조직행동과 신체화, 스트레스에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는 상사의 권력거리성향과 종업원의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신체화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열의는 직무스트레스와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신체화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상사의 권력거리성향이 종업원의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스트레스, 그리고 신체화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밝힌 최초의 연구이며, 조직 연구 분야에서 직무열의의 부정적 측면을 확인하였다는 이론적 함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기업이 지금까지 크게 주목하지 못했던 상사의 권력거리성향을 종업원의 행동 및 스트레스 관리에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직무열의가 높은 종업원 관리에서 어떤 지점을 주의해야하는지를 제시하였다는 데 실무적 함의점이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권력거리성향
2.2 권력거리성향과 비윤리적 친조직행동
2.3 권력거리성향과 신체화
2.4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2.5 직무열의의 조절효과
Ⅲ. 방법
3.1 참가자 및 연구절차
3.2 측정 도구
3.3 척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3.4 분석 방법
Ⅳ. 결과
4.1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및 상관
4.2 동일방법편의
4.3 연구모형 검증
Ⅴ. 결론
5.1 분석결과 토론
5.2 기업경영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
5.3 한계점 및 추후 연구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정유림 Jeong Yu Rim.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심리학과 석사과정
  • 정은경 Chung Eun Kyoung. 강원대학교 행정⋅심리학부 심리학전공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