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기형도 시에 나타난 환상성

원문정보

The Aspects of Fantasy in Ki, Hyeongdo’s Poetry

김미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recognized that deformed text passes through the illusion of prisms as a means of destroying contradictory reality, or as a way of expressing regression and desire into the oppressed inside. The ghosts, sounds, and mirrors can be found in his poems, because the repeated structures of life are represented with various fantasy images. These expressions transcend the boundaries of life and death with supernatural order or magical thinking beyond the boundaries of reality and fantasy. The subject of self embraces consciousness, the problem of vision and perception, the subject of the other implies the problem of unconsciousness, and the relationship of self and others is mediated through desire. The supernatural and invisible elements, and the motifs that function as reflections, appear as variants of desire. These elements are variants of the semantic elements of 'I' and 'non-existence', and their interrelationships, which remove the distinction between self and others and show the unity of life and death. The reason for his 'invisibility' that the world is not easily justified by seeing can be regarded as an overthrow of the system which makes 'seeing' as synonymous with 'understand'. The fantasy urge to change what is given and to transcend reality is an escape from playful boredom and play, and can be found in the mythical atmosphere, the images of the magical world, the domains of invisibility, the motifs of reflection. These illusions provide an unexpected place in everyday reality as a result of desire and desire for lack. Ki Hyungdo passes reality through fantasy. He also gains the power to overcome despair and the dream to return to the oppressed inner self. The methods of his poetic expression are presently meaningful in that they represent a universal sensitivity of modern people.

한국어

본 연구는 기형도의 텍스트가 모순된 현실을 전복하는 수단으로써, 혹은 억압된 내면으로의 회귀와 욕망의 표출 방식으로써 환상이라는 프리즘을 통과한다고 보았다. 기형도의 시에서 유령, 소리, 거울에 주목하게 되는 것은 반복되는 삶의 구조들이 이러한 표상들에 의해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표상들은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넘나들고, 초자연적 질서 또는 마술적 사고방식 내에서 삶과 죽음의 경계를 무너뜨린다. 초자연적이고 비가시적인 요소들, 그리고 반사상으로 기능하는 모티프들은 욕망의 여러 변이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요소들은 ‘나’와 ‘세계’, 그리고 그것들의 상호관계에 대한 의미론적 요소의 변이체들로서 자아와 세계 사이의 구별 자체를 제거하고, 삶과 죽음의 통합성을 보여준다. 세계는 보는 것만으로 쉽게 전유되지 않는다는 그의 ‘불가시성’에 대한 사유는 ‘보는 것’을 마치 ‘이해한다’와 동의어로 인식하게 하는 체계에 대한 전복이라고 볼 수 있다. 주어진 것을 변화시키고 현실을 넘어서려는 환상 충동은 상투적인 삶의 권태로부터의 탈출이자 놀이이다. 이는 신화적 분위기 · 마법 세계의 이미지들 · 불가시성의 영역 · 반사상의 모티프들 속에서 발현된다. 현실과 상상의 세계를 연결하는 환상은 결핍된 것에 대한 갈망이자 욕망의 결과물로서 일상의 현실에 비일상의 자리를 마련한다. 기형도의 시쓰기는 환상(幻想)을 통해 현실과 정면대결하여 절망을 극복하는 힘을 얻고, 억압된 내면으로의 회귀를 꿈꾼다. 그의 이러한 시적 표현 방식은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 속에 잠재되어있는 억압된 족쇄의 일부를 풀어내는 무의식의 발화이며, 개인과 공동체의 관계 속에 잠재되어있는 섬세한 징후들을 포착한다는 점에서 기형도 시의 다양한 독해는 현시점에서 여전히 유효하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신화와 마법의 세계
III. 불가시성의 세계 - 유령, 소리
IV. 투사와 왜곡 - 유리, 물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미라 Kim, Mi-ra. 동국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