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소비자의 식품표시 인지, 만족 및 신뢰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원문정보

Determinants of Consumers’ Awareness, Satisfaction and Trust of Food Labeling

이영애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15권 4호 2019.12 pp.97-122

doi:10.15790/cope.2019.15.4.097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relevant factors affecting the the consumers’ awareness, reliability, and satisfaction of the food label system in order to create a safe food selection environment and ultimately to find various consumer education policy issues that can lead the food safety pursuit behavior of consumers in the marketplace. To do this, the data of this study was used by 2018 Food Consumption Behavior Survey of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The influences of various consumer behavior-related variables and sociodemographic variables on the perception of food labeling system, food labeling satisfaction and trust were analy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consumers related to food label recognition are classified into unconcerned type, intermittent checked type, and cautious checked type. As a result of comparing food marking items for food purchase, the rate of confirming GMO or GAP marking for hygiene safety is very low in both intermittent checked type, and cautious checked type in the purchase of fresh fruits and vegetables and meat, The level of awareness of HACCP, GMO, nutrition labeling, and nutrition labeling and allergy labeling is low. Second, as a result of food labeling of Awareness, the higher the agri-food practice information utilization among the consumer competency, the higher the quality control standardization, the food safety, the organic certification related attitudes and knowledge are found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the quality standards of hygiene safety and environmental ethics. Third, as a result of the food label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analysis, the overall level of satisfaction with food labeling and reliability becomes higher as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the agri-food consumer competency as well as increasing the agri-food practice information util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provide a consumer-oriented way to operate a food labeling system that can respond to food-related consumer anxiety and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to choose safe food for consumers' saf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식품표시제도의 인지여부, 신뢰 및 만족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들의 관계를 파악함 으로써 안전한 식품 선택 환경을 조성하고, 시장 내에서 소비자의 식품안전추구 행동이 올바른 방향으로 발현될 수 있는 다양한 소비자 교육방향의 제시 및 정책 이슈를 발굴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활용한 데이터는 한국농촌 경제연구원의 2018년 식품소비행태조사이며, 식품표시 인식 관련 소비자특성, 식품표시제도에 대한 인지 여부, 식품표시 만족 및 신뢰여부에 대한 다양한 소비자 행동관련 변수들과 사회인구학적 변인들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품표시 확인 유형은 무관심형, 간헐적 확인형, 신중한 확인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식품 구매시 실제 식품표시 확인 내용을 각 유형별로 비교한 결과, 신 선식품인 청과물 및 육류구매에서는 위생안전 관련 표시인 GMO나 GAP 표시를 확인하는 비율이 간헐적 확인형 및 신중한 확인형 모두에서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가공식품도 위생안전 관련 식품 표기인 HACCP 이나 GMO, 영양건강 관련 표시인 영양표시나 알레르기 표시에 대한 인지도 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식품표시 인지여부 에 대한 분석결과, 농식품 소비자 이용역량 중 농식품 정보활용실천 역량이 높을수록 품질규격, 위생안전, 환경 윤리관련 식품표시 인지도 모두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농식품 이용 지식 및 태도는 품질규격 위생안 전, 환경윤리 관련 표시의 인지도를 각각 높이는 주요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식품표시 만족 및 신뢰 여부를 분석한 결과, 농식품 이용 지식 및 태도, 농식품 정보활용 실천 역량이 증가할수록 식품 표시에 대해 만 족하거나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소비자의 안전한 식생활 영위를 위해 식품관련 소비자 불안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안전한 식품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식품표시제도 운영 방안을 소비자 지향적으로 마련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식품표시제도의 의의 및 유형
2. 소비자의 식품표시 이용특성과 인식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및 분석모형
2. 분석 자료
3. 변수 선정
4. 분석방법
5. 조사대상자 및 식품표시확인 소비자의 일반적 특성
Ⅳ. 분석결과
1. 농식품 소비자 이용역량 및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2. 식품표시확인 유형별 식품표시 확인내용과 영향요인 분석
3. 속성별 식품표시 인지 여부에 대한 영향 요인 분석
4. 식품표시에 대한 만족, 신뢰 및 신뢰 여부에 대한영향 요인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영애 Lee, Youngae. 인천대학교 글로벌법정경대학 소비자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