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남과 북의 <안중근 열사가>

원문정보

The Songs for Patriotic Martyr Ahn Jung-Geun in North and South Korea

김인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the songs for patriotic martyr Ahn Jung-Geun in North and South Korea based on the similarities between the lyrics of Park Dong-Sil "Yeolsaga" and the lyrics of north-western popular song "Yeolsaga." The recordings of Lee Seong-Geun and Jung Sun-Im were studied for Namdo "Yeolsaga", and the recordings of Kim Gyeong-Bok and the lyrics of Park Bong-Nyeo were studied for Seodo "Yeolsaga"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genre and personal variation. Namdo "Yeolsaga" was composed according to the style of Namdo pansori in the south around 1945, and Seodo "Yeolsaga" originated in 1910 by Kim Gwan-Jun's work (presumably composed in Seodo pansori style), but it has disappeared and is passed down to the style of Seodo japga (Sinjo-yeokkeum) that are believed to be inherited. The songs of Seodo "Yeolsaga" seem to be as popular as folk songs as they are musically simple. Ahn Jung-Geun "Yeolsaga" inherited by Jang Woljungseon and Jeong Sun-Im show the dramatic musical characteristics of pansori compared to Kim Dong-Jun and Lee Seong-Geun as they belong to the same school Park Dong-Sil. The songs for patriotic martyr Ahn Jung-Geun in North and South seem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ame source o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them. Seodo "Yeolsaga" may have already exis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the lyrics are less polished,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in composition is low, and some of the lyrics of the song have implications for the colonial context. Only specific facts will be revealed when more data is supplemented. If the songs for patriotic martyr Ahn Jung-Geun in Seodo exist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we sould consider the possibility that Park Dong-sil composed the song of Namdo "Yeolsaga" before liberation.

한국어

박동실제 <안중근 열사가>와 서도잡가(신조 엮음) <안중근 열사가>에 보이는 이야기 구성의 유사성에 착안하여 남과 북의 <안중근 열사가>를 비교 분석해 그 관계성을 고찰했다. 남도 <안중 근 열사가>는 이성근과 정순임의 소리를 대상으로 했고, 서도 <안중근 열사가>는 김경복의 녹음 과 박봉녀의 사설채록본을 비교하여 갈래별 특성과 개인적 변이도 살펴보았다. 서도의 열사가는 1910년 김관준이 서도판소리 양식으로 창작한 것으로 추정되지만 오늘날 전승되는 형태는 서도의 긴잡가(신조 엮음) 양식이다. 서도 <안중근 열사가>가 김관준의 초기 작품을 얼마나 계승하고 있는지는 자료의 미비로 확인될 수 없었다. 서도 <안중근 열사가>는 극적 특성이 결여된 평이한 잡가 형태로서 사설과 음악의 결합력이 낮으며 상대적으로 전문성이 높지 않다. 판소리로서의 예술성을 담보하고 있는 박동실제 <안중근 열사가>는 20세기 후반을 거치면서 계통적 특징도 드러내고 있다. 김동준-이성근 계통이 열사가의 장르적 특성에 치중하고 있는 데 비해 장월중선-정순임의 소리는 판소리의 극음악적 성격에 충실하려는 소리임을 확인할 수 있다. 각각 남도판소리와 서도잡가로 불린 <안중근 열사가>는 동일한 원천에서 출발했거나 둘 사이 에 선후 관계가 존재해 보인다. 서도의 작품은 사설이 덜 다듬어져 있고 구성상 분화의 정도가 낮은 점, 그리고 압제적인 상황을 한탄하는 내용의 사설 등에서 일제강점기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더 확실한 내용은 관련 자료가 보충될 때 밝혀질 수 있으리라고 본다. 서도의 <안중근 열사가>가 일제강점기에 불렸다면 박동실제 열사가의 창작 또한 해방 이전에 시작되었을 가능성 도 열어두어야 할 것이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계통별 소리대목의 구성
3. 남도판소리 <안중근 열사가>
4. 서도잡가 <안중근 열사가>
5. <안중근 열사가>의 창작과 전승
6. 맺음말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김인숙 Kim, In-Suk. 한국학중앙연구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