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서울대학교 국악과 60주년>

서울대 국악과 교과목의 지속과 변화

원문정보

History of Curriculums of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최선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become the cent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universities since it was established in 1959. For 60 years,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brought changes to educational courses in response to the demands and changes of the age times rapidly changing. This article verified change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by looking at its periodic changes and newly opened courses. The curriculum structure of the department in was formed when the department was established in 1959.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f the 1960s can be said to be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major courses.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of the 1970s put emphasis on the strong multilateral research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uch as literature-focused Korean traditional music theoretical research and composition-focused Korean traditional music analysis research, anthropological music research that places importance on folk music field and comparative research with Asian music. The education of the 1980s supplemented existing instrumental music with singing and dancing. Also, some courses looked through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music, and actively adopted music research methodologies of the West that see the music from the sociology discipline of psychology, and ethnic study, expanding its outer scopes. In the 1990s, the courses for theory major cultivated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ajors, fostere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sentiment of those not majoring in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nherited the traditions of Pungnyubang(風流房) ensembles, actively embracing Korean traditional chamber music that stirred up new sensations before and after the 1990s. In addition, curriculums taught by scholars who graduated from the department and majored in ethnomusicology abroad were opened, developing a sense of discernment that understands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in anthropologic music culture. The education of the 2000s evaluated Korean traditional music of the 20th century, fostered critical thinking for the establishment of direction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in the 21st century, strengthened the abilities of musicians performing folk music and string ensemble, and put emphasis on understanding and directly participating in the traditions and present properties of creative Korean traditional music. Also, in addition to courses on the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traditional instrument classes were adopted, helping the cultiv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sensibility of students not majoring in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2010s put emphasis on the rol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the advancement of performers, and strengthened competitiveness. In addition, it is implementing education that teaches the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musicians to foster future creative talen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한국어

서울대 국악과는 1959년 출범한 이래 대학 국악교육의 구심점이 되어 왔다. 60년 동안 서울대 국악과는 급속히 변모하는 시대적 요구와 변화에 대응해서 교육과정에 변화를 주었다. 이 글에서는 서울대 국악교육의 변화를 개설 교과목의 시기별 변화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서울대 국악과 교과목의 기본 틀이 1959년 국악과 창설기에 갖춰졌다. 1960년대 서울대 국악과 교과목의 증가는 전공 수업의 개발 및 확대의 결과이다. 1970년대 서울대 국악과의 국악교육은 국악문헌 중심의 국악이론 연구와 악곡 중심의 국악분석 연구, 민속악 현장을 중시하는 음악인류학적 연구, 동양음악과의 비교 연구 등 국악의 다각적 연구 강화에 주안점을 두었다고 하겠다. 1980년대는 기존의 기악[樂] 중심 국악교육에서 성악[歌]을 강화했고 무용[舞]을 보완했다. 또 개화기 음악을 진단하고 한국음악의 현대사를 모색하며, 사회학과 심리학, 민족적 관점에서 음악을 이해하는 서양의 음악연구 방법론을 적극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외연을 확장해 갔다. 1990년대는 국악이론 전공자의 집단 지성을 길러주고, 비전공자의 국악적 감수성을 함양시키며, 풍류방 합주 전통을 계승하면서 1990년 전후로 새로운 바람을 일으켰던 국악실내악을 적극 수용했다. 더불어 해외에서 민족음악학을 전공한 학자가 강의하는 교과목을 개설해서 인류음악문화 속에서 국악을 이해하는 안목을 키워주었다. 2000년대는 실기 전공(아쟁․타악․지휘)이 확대됐다. 국악에 대한 비평적 사고를 길러주고 연주자의 민속악․현악합주 능력을 강화하며 창작국악 이론과 실습 교육을 실시했다. 한편 비전공자의 능동적인 예술 체험을 돕는 교양악기 강좌를 신설했다. 2010년대는 국악교육자와 연주자, 창작자로의 성장 촉진 및 실기 경쟁력(연주력․창작력) 강화에 주안점을 두었다. 동시에 음악가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에 대한 교육도 이루어지고 있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서울대 국악과 교과목의 시기별 특징
3.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선아 Choi, Sun-A. 서울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