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기획논문: 서울대학교 국악과 60주년>

한국 창작음악에서 혼재하는 국악작곡의 특수성과 모호성

원문정보

The Specificity and Ambiguity on Gugak Composition Coexisting in Korean New Music

윤혜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Gugak composition majo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as led the new music of gugak circles. This study is to look over the achievement and further tasks of that major by considering the circumstance of new music area and to discuss how the specificity and ambiguity on gugak composition coexist in Korean new music area at the present. The specificity and ambiguity on gugak composition show the present that new music of gugak circles stands now. An ambiguous boundary and sphere in most area related to gugak and composition were derived from an ambiguity lied in gugak versus music. The current gugak circles prefer performance by public’s musical inclination rather than music works to which one attempts to apply a specificity of gugak composition. Most of all, there are few discussions on the identity of gugak in the former music. Accordingly the current situation came as the result in massive producing new music without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gugak composition. While gugak circles have emphasized on the significance of gugak composition and Korean identity of new music, the actual field of performance mostly requires a new music corresponding with public’s preference. The specificity of gugak and gugak composition can be established by virtue of being clearly aware of an ambiguity coexisting in Korean new music. Then it may lead us to a new era that gugak may establish itself as our music in Korea. Prof. Yi Sung-cheon had focused on research upon traditional music and identity in the education of gugak composition. He enforced his view that gugak composition is not only compositional technique but also spirit embedd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Gugak composition as the fundamental way and thought in music making should be deepen so that gugak can be as a spirit and technique not as just a mixing element for making new music.

한국어

이 글은 국악계 창작을 주도했던 서울대학교 국악과 작곡전공의 성과와 과제를 창작음악 환경과 연계하여 숙고해봄으로써 현재 한국 창작음악에서 국악작곡 분야의 특수성과 모호성이 혼재하는 상황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국악작곡의 특수성과 모호성은 국악계 창작음악의 현재를 보여준다. 국악과 음악의 모호한 구도는 국악과 창작에 관련된 대부분 분야에 모호한 경계와 구도를 파생하였다. 현 국악계에서는 국악과 국악작곡의 특수성이 적용된 창작음악보다는 대중적 음악성향에 부합하는 연주 및 공연이 선호되고 이들 음악에 대한 국악의 정체성 논의는 거의 부재하다. 이는 국악계 현장에서 국악작곡의 특수성을 고려하거나 인식하지 않고 창작음악을 양산하는 결과를 낳았다. 즉 국악작곡의 의미와 창작음악의 국악적 정체성을 강조하면서도 실제 공연현장에서는 대중적 감수성에 부합하는 창작음악을 주로 요구하고 연주하는 이질적인 상황이 벌어진다. 국악과 국악작곡의 특수성은 한국 창작음악에서 혼재하는 모호한 구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러한 구도를 명확히 인식해야만 국악은 물론 국악작곡의 정체성이 올바르게 형성될 수 있다. 전통음악연구와 정체성 논의를 국악작곡의 전공교육 중심에 두었던 이성천 교수는 국악작곡이 단지 작곡 기법만이 아니라 전통음악에 내재된 정신을 포괄하고 있음을 강조하였다. 국악계 창작음악이 지속적인 전개와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국악이 단지 창작음악을 위한 혼합 ‘요소’가 아니라 창작 정신이자 기법이 될 수 있도록 국악작곡이라는 근본적인 창작 방식 및 사고가 심화되어야만 한다.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글
2. 서울대학교 국악과 작곡전공의 성과와 과제
3. 국악계 창작음악의 전개와 변화
4. 한국 창작음악에서 혼재하는 구도
5. 나오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윤혜진 Yoon, Hyejin. 전남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