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예술과 유희의 연관성에 관한 현대 미학적 고찰 - W. 벤야민과 H. 슈미츠의 이론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Play in the Modern Aesthetic Theories - Focused on the Theories of W. Benjamin and H. Schmitz

하선규

대동철학회 대동철학 제89집 2019.12 pp.383-410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ssue ‘Art and play’ is frequently discussed in philosophical, aesthetic research and history of culture. However, it is not just a feature or aspect of art theory, but a very important topic that is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many significant themes like ‘art and life’, ‘art and culture’, ‘art and society’, ‘art and politics’, ‘art and human body’ etc. In this article, I will discuss the issue of art and play through the theories of two German thinkers, Walter Benjamin (1892-1940) and Hermann Schmitz(1928- ). Though the philosophical position and methodology differ markedly, the two thinkers develop very original and meaningful theories on the ontological and epistemological meanings of art and play. Benjamin inquires into the issue of art and play in terms of the macroscopic trends and interactions of the economic foundations and ideological structures (Basis und Überbau). In his theory, play is not only the fundamental driving force of art, but also presented as an anthropological core concept that enables the internal composition and liberative practice of the new historical subject, the masses. On the other hand, Schmitz explores the meaning of art and play based on a full reevaluation of bodily experience and subjective facts. As a person who can be physically astonished, the subject responds to the challenge of chaotic manifolds with his elastic abilities of physical resonances and ways of objectification. These are remarkable human abilities of playful identification and objectification through poetry and art. In order to deeply understand contemporary works of art, in which playful elements are increasing day by day, Benjamin’s and Schmitz’ theory can give important implications at various points.

한국어

예술과 유희는 철학적, 미학적, 문화사적으로 자주 논의되어 온 문제이다. 그런데 유희는 단순히 예술의 한 특징이나 측면이 아니라, 예술과 삶, 예술과 문화, 예술과 사회, 예술과 정치, 예술과 인간(몸) 등과 직,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대단히 중요한 예술철학적 주제이다. 필자는 본고에서 예술과 유희의 문제를 두 명의 독일 사상가들인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과 헤르만 슈미츠(Hermann Schmitz, 1928- )의 이론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철학적 입장과 방법론이 현저하게 다르지만, 두 사상가는 예술과 유희의 존재론적, 인식론적 의미에 대해 각기 매우 독창적이며 의미심장한 이론을 전개한다. 벤야민은 거시적인 ‘토대와 상부구조’의 발전 경향과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예술과 유희의 문제를 논구한다. 그의 이론에서 유희는 예술의 근원적 추동력일 뿐 아니라, 새로운 역사적 주체인 대중의 내적 구성과 해방적 실천을 가능케 하는 인간학적 핵심 개념으로 등장한다. 한편, 슈미츠는 신체적 경험과 주관적 사실의 전면적인 재평가를 바탕으로 예술과 유희의 의미를 논의한다. 신체적으로 경악할 수 있는 존재인 인간은 카오스적 다양체의 도전에 대해 신체적 공명 능력과 대상화 능력으로 응답한다. 이들이 바로 유희적 동일시와 시와 예술을 통한 대상화 능력이다. 유희적 요소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동시대 예술작품을 깊이 이해하고자 할 때, 벤야민과 슈미츠의 이론은 여러 지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벤야민의 역사적 예술철학과 유희 개념
2.1. 역사적 언어철학과 인간학적 유물론에 근거한 역사적 예술철학
2.2. 유희의 예술철학적, 인간학적 의미
3. 슈미츠의 신체현상학적 미학 이론
3.1. 주관적 사실, 상황, 인상 개념의 신체현상학적 재정의
3.2. 예술과 미적 경험의 인간학적 의미 : 유희적 동일시와 상황과인상의 섬세한 전개
4. 결론을 대신하여 : 열린 신체와 유희의 형성력을 위하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선규 Ha, Sun-Kyu.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