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사회적 거리와 소비자의 자기해석에 따른 광고효과

원문정보

Effects of Consumer's Self-Construal and Perceived Social Distance of Message Source on the Effectiveness of Facebook Advertisement

김보라, 박은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effectiveness of social media advertising differs depending on social distance, a characteristic of the message source, and self-construal, a characteristic of consumers. To achieve this goal, the experiment was in 2 levels of social distance (close/far) by 2 levels of consumer's self-construal (interdependent/independent) between-subjects design. A total of 226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interaction effect of social distance and self-construal on the on-line word-of-mouth) intention in social media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main effect of social distance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consumers were more willing to share the Facebook ads by close-social distance sources by pressing 'Share'. Second, the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social distance and self-construa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ase of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consumer, purchase intention of the product of close social distance (e.g., friend) was higher than in case of far social distance (e.g. marketer).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consum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urchase intention between close friend and marke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academic and practical significance by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social distance and self-construal in the development of social media advertisements.

한국어

본 연구는 페이스북 광고를 보는 소비자가 게시글에 대해 지각하는 사회적 거리에 따라 설득효과에 차이가 있는지, 이 과정에서 사용자의 자기해석이 조절효과를 갖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사회적 거리: 가까움/멂) × 2(자기해석: 상호의존적/ 독립적)의 피험자간 설계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남녀 대학생 226명이 참여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페이스북 광고에 대한 반응으로서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사람(친구)이 제공하는 페이스북 게시글 광고에 대해서 사회적 거리가 먼 사람(기업의 홍보담당자)의 게시글 광고보다 ‘공유하기’ 같은 SNS 구전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자는 사회적 거리가 가까운 친구가 게시한 페이스북 광고에 대해 기업 담당자가 게시한 경우보다 해당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더 높은 반면, 독립적 자기해석자는 사회적 거리(친구 vs. 기업담당자)에 따른 구매의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과 같은 SNS 광고에 노출되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광고 제공자와의 사회적 거리와 소비자의 자기해석이 광고의 설득 효과에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함으로써, SNS 광고집행에 대한 실무적 함의를 제공할 뿐 아니라 SNS 광고효과에 관한 학문적 이해를 높였다는 데 의의를 가진다.

목차

요약
Abstract2)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SNS 광고의 이해
2.2 사회적 거리
2.3 자기해석
Ⅲ. 연구방법
3.1 연구 설계 및 참여자
3.2 자극물 선정 및 제작
3.3 변인의 측정
3.4 분석 방법
Ⅳ. 분석결과
4.1 조작점검
4.2 사회적 거리와 자기해석에 따른 페이스북광고의 설득효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보라 Bora Kim. 대구대학교 대학원 심리학 석사
  • 박은아 Euna Park. 대구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