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의 직업안정성 변화와 원인 분석

원문정보

An Analysis of Job Stability Changes and Causes in Korea

김기덕, 어수봉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new methodology for measuring job stability in Korea, which is undervalued, and to reveal how job stability has changed from 2003 to 2018.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change of job stability over the long term through the decomposition method. As Korea experienced sudden job instability such as massive layoffs and voluntary retirement through the foreign exchange crisis in the past, job seekers' preference for stable jobs gradually increased. Since then, Korea has been recognized as having a low level of job stability because of its shorter average tenure than other countries. Therefore, this paper empirically analyzes how job stability of Korea has changed from 2003 to 2018, when the impact of the foreign exchange crisis has disappeared. The analysis measured the one-year job retention rate in only those aged between 20 and 54 with Supplementary Results of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which is investigated in August every year. The analysis showed that job stability continued to increase from 2003 to 2013, and has since remained in the 70 percent range. Job stability increased more than females, and by age group, the increase in age over 30, while the increase in occupational stability of young people is minimal. The increase in job stability has led to a greater increase in women than men. By age, more than 30 years of age increased, while the job stability of young people was minimal. Decomposed by human and employment characteristics to explore the causes of job stability increase, the high-education of the workforce has been identified as the biggest reason for increasing job stability. The effect of this higher education was found to have more impact on job stability of men than women.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저평가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직업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 을 소개하고, 이를 통해 2003년 이후부터 2018년까지 직업안정성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장기간에 걸친 직업안정성 변화의 원인이 무엇인지를 분해기 법을 통해 규명하고자 한다. 우리나라는 과거 외환위기를 겪는 과정에서 대량해고, 명예퇴직 등 급작스럽게 찾아온 고용의 불안을 경험하면서 안정된 일자리에 대한 선호가 점차 증가했 다. 이후 우리나라는 다른 나라에 비해 평균 근속기간이 짧은 등의 이유로 직업안정성이 매우 낮은 국가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외환위기의 여파가 어느 정도 사라졌다고 판 단되는 2003년 이후부터 2018년까지 한국의 직업안정성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실증분 석하고자 한다. 분석은 매년 8월에 조사되는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데이터로 20~54세만을 대상으로 1년 고용유지율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직업안정성은 2003년부 터 2013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으며, 이후 70%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 안정성 증가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더 크게 증가했으며, 연령별로는 30대 이상은 증가한 반면, 청년층의 직업안정성 증가는 미미하다. 직업안정성 증가의 원인을 탐색하기 위해 인적 및 고용특성별로 분해한 결과 노동력의 고학력화가 직업안정성을 증가시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 확 인되었으며, 이런 고학력화는 여성보다는 남성의 고용안정성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직업안정성에 대한 기존 연구
Ⅲ. 연구 방법 및 데이터
1. 데이터
2. 분석방법
Ⅳ. 연구 결과
1. 한국의 직업안정성 추이
2. 직업안정성 패턴의 원인 탐색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기덕 Kim, Ki Duk. (사)지역경제와고용 부연구위원
  • 어수봉 Uh Soo Bong. 한국기술교육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