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中国极多主义ㆍ极繁主义,心流或修的艺术

원문정보

Chinese Maximalism, Art of Flow or Cultivation

중국겁다주의ㆍ겁번주의,심류혹수적예술

金玺美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2003, two exhibitions were held in Beijing, both of them presented new style of Chinese abstract art that has emerged in the beginning of 1990s. One is curated by Gao Minglu, titled “Chinese Maximalism,” the other one is curated by Li Xianting, titled “Prayer Beads and Brush Strokes.” They pointed out simple but repetitive course of creation is the key characteristic of this new abstract art since these artists do the same things over and over like a repetitive prayer. They regard their art works as a record of certain routine of art making procedure that embodies their spiritual training, and this training was understood as meditations or contemplative practices in the context of Eastern Asian philosophy and religion. In this paper, I examined psychologist Mihaly Csíkszentmihályi’s concept of “Flow” and the concept of cultivation(修), one of the essential matters in the discourse of Confucianism, Daoism and Buddhism’s self-cultivation. The flow state has been described as the “optimal experience” in that one gets to a level of high gratification from the experience. Flow has many similarities to cultivation as flow refers to “the holistic experience that people feel when they act with total involvement,” cultivation in Chinese means repetitive process of controlling one’s mind. What Chinese Maximalism artists have been visualizing is the experience of flow or self-cultivation that dissolves the subject- object relationship into a reality that transcends both of them. These artists understand the creation of an artwork as equivalent to the work of practical labour and handicraft, showed their art work’s continually changing materiality in order to achieve spiritual freedom. The experience of spiritual freedom is an experience of incompatibilities and inconsistencies in aspects of our lives, is a realization of everything is always changing and nothing remains the same.

한국어

2003년 중국의 평론가 겸 큐레이터 가오밍루(高名潞)와 리시엔팅(栗宪庭)은 각 각 《극다주의(极多主义)》와 《염주와 필치(念珠与笔触)》라는 전시를 기획하여 1990년대 초반 중국에서 등장한 새로운 경향의 추상예술을 “극다주의”와 “극번(极繁) 주의”라 명명했다. 이들이 지적한 극다·극번주의 예술의 특징은 매일 같은 일을 반복 하는 작업 과정을 거치고, 단조롭지만 번거로운 창작의 단계를 수공을 들여 지속적으 로 되풀이하여 작품을 완성한다는 점이다. 이들은 반재현, 반표현의 추상예술 작품을 작가의 정신적 활동의 투사물 또는 기록물로 간주했고 극다·극번주의 예술가들이 창 작 과정 중 경험한 정신 활동은 동양철학의 전통을 바탕으로 한 명상 또는 수행의 결과 물과 유사한 것으로 설명되었다. 본고는 미국의 심리학자 미하이 칙센트미하이 (Mihaly Csíkszentmihalyi)의 ‘플로(flow, 몰입)’ 개념과 유불도 삼교의 정신 함 양을 논할 때 흔히 거론되는 ‘수양(修)’의 개념을 바탕으로 극다·극번주의 예술가가 시각화한 정신활동을 분석하였다. 어떤 활동에 완전히 몰입하여 최상의 즐거움을 느끼 는 상태인 플로와, 차분하게 몸과 마음을 계속해서 다스리는 수양의 정신은 그 경험의 조건과 특징에 있어 유사한 점이 많다. 같은 유형의 동작 또는 행위를 반복하면서 작품 을 창작하는 극다·극번주의 예술가들이 가시화한 정신활동은 주객체의 구분이 없어지 고 자기 목적적 활동에 완전히 몰입하는 플로 또는 수양 정신의 체험으로, 이들은 주체 를 둘러싼 다양한 대립적 요소들의 조화를 만들어나가는 일을 작품 창작으로 승화시켰 다. 이들이 반복적인 손동작과 이에 수반되는 신체의 규칙적 리듬을 시각화하는 과정 에서 주체와 객체, 정신과 육체의 이항 대립 관계는 조화의 관계로 전환된다. 반복적 행위를 작품 제작의 주요 기법으로 삼은 극다·극번주의 예술가들에게 수양은 수단이 면서 동시에 목적이고 수양함 그 자체가 이들의 예술이다. 예술작품의 창작을 일상적 노동의 과정으로 재해석하고, 재료 본연의 물질성과 시간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를 그대로 드러낸 극다·극번주의 예술의 지향점은 주체가 타자·객체·대상와 조화롭게 하 나가 되어 노니는(游) 정신적 자유의 체험, 만물은 항시 변화하며 모든 객체들 사이에 는 항상 차이와 어긋남이 있다는 세상 이치의 깨달음에 있다.

목차

<논문요약>
Ⅰ. 序言
Ⅱ. 中国极多主义·极繁主义的重复技法
Ⅲ. “心流”和“修”
Ⅳ. 复合心流与养生之修
Ⅴ. “游”──“心流”与“修”的体现
Ⅵ. 结论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金玺美 김새미. 北京师范大学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