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문화철학적 배경에서 전통의 ‘재현’을 위한 한국춤의 다양성 및 창조적 시야

원문정보

Diversity and Creative Perspectives of Korean Dance for the ‘Representation’ of Tradition in the Cultural and Philosophical Background

김지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focuses on the philosophical reasoning for the aesthetic value of human art in terms of the semantic function of 'recreation of tradition' and explores the origin and values of art. Therefore, by focusing on the more general and universal values of the symbolic form of Korean dance, the specificity of Korean beauty is reduced to the concept of definition. By arranging the forms of the infrastructure of representation and creation of the beauty concept of Korean art, which is commonly used as a maze, the specific concept of Korean beauty could be organized. This symbolic image of conceptualization can extend the attitude of re-recognition of Korean beauty and divers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rt and Korean dance as the concept of global and local.

한국어

연구는 인류 예술의 미적 가치에 대한 철학적 사유를 ‘전통의 재창조’라는 의미적 기능에 관해 주목하고 예술의 근원과 가치를 탐색한다. 이에 한국춤의 상징형식을 보다 일반적이고도 보편적 가치에 주목함으로서 한국적 미의 특수성을 정의적 개념으로 축소하고 있다. 미로 통용되는 한국예술의 미의 개념에 대해 재현과 창조라는 하부구조의 형식들을 나열함으로써 한국적 미의 특수한 개념을 체계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개념화의 상징 이미지는 한국적 미의 재인식의 태도를 확장할 수 있고, 글로벌과 로컬의 개념만큼 한국예술과 한국춤의 관계를 다양화 할 수 있다는 시각이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예술의 상징 형식
2. 문화철학적 배경에서의 재현
3. 전통과 한국춤의 재창조
Ⅲ. 한국춤의 다양성 및 창조적 시야
1. 본질적 가치재현
2. 사상적 가치재현
3. 미적 가치재현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지원 Kim, Ji Won. 단국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