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도시재생 리빙랩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evelopment of Urban Living Lab Evaluation Indicators

김은지, 박영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valuation indicators for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and urban living labs. Particularly, since these policies and projects are based on the actual lives of residents, this study attempts to derive the evaluation indicators from a participatory perspective. This study analyzes and presents the evaluative indicators of Korean local innovation policies and urban living labs that are most important to key stakeholders including residents. Particularly, the level of democracy in policy and business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level of the residents are recognized as very important indicators; thus it is imperative and expected that business directors promote these aspects of the project. This suggests that these indicators should be evaluated and considered important when future project managers are selected.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혁신 정책과 도시재생 리빙랩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평가지표를 마련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정책과 사업은 주민들의 실생활을 기반으로 하므로 참여적 관점에서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리빙랩에 관한 이론적 고찰, 지역혁신체제와 연구개발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정책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 등 총 세 영역의 체계적인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문헌 고찰의 결과를 토대로 국내 도시재생 리빙랩의 과정을 도식화하고 이를 연구모형으로 제시하였고, 이론적 고찰 및 우리나라 도시재생 리빙랩 사업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평가항목을 구조적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해당 평가지표에 대하여 전문가의 검증을 거쳤으며, 그 결과를 반영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지역혁신정책 및 도시재생 리빙랩의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각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정책대안평가와 영향평가에서 민주성을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책임자의 주민에 대한 태도와 소통과 관련된 지표의 중요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정책대안평가는 효과성, 자원관리의 효율성, 적합성, 실행가능성, 정책계획의 적정성 등이 평가지표로 선정되었고, 정책영향평가는 효과성(목표달성도), 능률성, 적합성, 정책추진의 적정성 등이 평가지표로 구성되었다. 리빙랩 프로젝트 선정평가의 최종 평가지표로는 참여자 의사소통의 적정성, 추진과정의 민주성, 투입자원의 적정성, 관리 적정성이 도출되었고, 리빙랩 프로젝트 과정평가지표는 민주성, 참여도, 갈등관리, 소통관리 등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리빙랩 프로젝트 결과평가의 최종 평가지표로는 갈등관리, 파급효과, 효과성, 환경 대응성 등이 선정되었으며, 주목할 만 한 점은 프로젝트 과정평가 및 결과평가에서 갈등 해결에 관한 항목이 독립적으로 분류된 점이다. 셋째, AHP분석 결과 정책대안평가 시 정책의 실행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로 분석되었고, 정책영향평가 시에는 효과성(목표달성도)이 가장 높은 가중치를 두고 평가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리빙랩 프로젝트 선정평가, 과정평가, 결과평가에서 각각 추진과정의 민주성, 참여도, 민주성이 우선순위의 첫 번째를 차지함으로써 사업을 주민이 주도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도시재생 리빙랩의 경험이 많을수록 효율성이나 능률성, 효과성보다는 주요 이해관계자인 주민의 요구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2.1. 도시재생 리빙랩에 관한 이론적 고찰
2.2. 지역혁신역량과 연구개발에 관한 이론적 고찰
2.3. 정책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
3. 도시재생 리빙랩 과정 모형
4. 도시재생 리빙랩 평가지표의 개발
4.1. 평가항목 구성
4.2. 이해관계자 대상 설문조사
4.3. 요인분석 및 AHP 분석
4.4. 평가지표의 활용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은지 Kim, Eun Jee.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박사
  • 박영일 Park, Young Il. 이화여자대학교 융합콘텐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