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nalysis of Discourse on Misogyny and Misandry in Media Reports : Combining Language Networks with Critical Discourse Analysis
초록
영어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media reports related to misogyny and misandry as a framework for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ethods The data analyzed included about 1700 articles. Topic modeling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were use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all the text by topic modeling, 30 topics were analyzed. After analyzing the discursive practice of misogyny, discourses on feminism, online conflict, events, disgust and content, and disgust and narratives were analyzed in the conservative papers and discourses on structure, violence, events, and civic movements were analyzed in the progressive papers, After analyzing the discursive practice of misandry, discourses on disparity, dislike, perpetrator, power, phobia, and damage were analyzed in the conservative papers and discourses on women’s dislike, femicide, mirroring, and bias were analyzed in the progressive papers. Conclusions In analyzing the social practice of discourse, competing discourses were analyzed to have opposition to and against patriarchal ideology.
한국어
배경 및 목적 여성 혐오 남성 혐오와 관련한 담론을 분석함으로써 우리 사회에서 여성 혐오와 남성 혐오에 대한 사회적 의 미와 해석들이 어떻게 부딪히고 있으며, 어떠한 담론들이 공중의 지지를 확보하고 사회적 의미를 재구성해 가는지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서 궁극적으로 젠더와 관련한 우리 사회의 인식을 파악하고 사회 구조 의 질서와 변동을 이해하고자 했다. 방법 비판적 담론 분석 모델에 따라 담론을 텍스트, 담론적 실천, 그리고 사회적 실천 등의 세 가지 층위에서 분석 하였다. 텍스트 분석은 빅데이터에 기반해서 토픽 모델링을 사용하였고, 담론적 실천 분석을 위해서는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사용하였다. 담론의 사회적 실천 분석에서는 경쟁하는 담론들에 내재한 이데올로기를 분 석하기 위해 툴민의 논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여성 혐오와 관련해서 보수지에서는 페미니즘, 온라인 갈등 등의 담론이 분석되었고, 진보지에서는 구조, 폭 력 등의 담론이 분석되었다. 남성 혐오와 관련해서 보수지에서는 혐오, 가해자 등의 담론이 분석되었고, 진 보지에서는 여성 혐오, 미러링 등의 담론이 분석되었다. 여성 혐오와 관련한 담론들 간에는 축소 지향의 보 수주의 이데올로기와 반가부장제 이데올로기가 대립했고 남성 혐오 관련한 담론들 간에는 가부장제와 반가 부장제 이데올로기 간의 대립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논의 및 결론 다양한 개인과 조직을 대변하는 PR 커뮤니케이션은 사회적 의제와 관련된 담론들이 자유롭게 경쟁할 수 있 는 공론장을 형성해서 현실을 정의하고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문제 제기
문헌 연구
담론 경쟁과 비판적 담론 분석
혐오, 여성 혐오, 남성 혐오 발언
연구문제와 연구 방법
연구 자료 수집 및 처리
분석 방법
연구 결과와 논의
혐오 보도 텍스트 분석
여성 혐오, 남성 혐오 담론들과 담론적 실천 분석
여성 혐오, 남성 혐오 담론들의 사회문화적 실천
결론과 제언
References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