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통합체육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자기효능감 수준과 영향요인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Self- efficacy towards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Impact Components

고영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self-efficacy towards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and impact components. To achieve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s for students with ID and PE were selected. The number of participants was total 217. To measure the self-efficacy scor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physical disabilities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part of SE-PETE-D, and PESEISD-A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component of self-efficacy. To analyze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in the teaching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the impact components was positive, and the order of components was mastery experiences and social persuade. However, vicarious experiences did not have any effect as the regress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in the teaching physical disabilities, in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the impact components was also positive, and the order of components was mastery experiences, and vicarious experiences.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통합체육에 대한 예비체육교사의 자기효능감의 수준과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지적장애학생과 지체장애학생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그에 대한 요인 관계를 분석하였고 연구 참여자는 재학 중인 예비체육교사로서 총 217명이 참석하였다. 설문도구로는 지적장애학생과 지체장애학생의 통합체육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예비체육교사를 위한 통합체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척도 (SE-PETE-D)를 사용하였고 예비체육교사들이 예측하는 영향요인에 대한 설문을 위해 예비체육교사를 위한 자폐성 장애학생 통합체육에 대한 자기효능감 척도(PESEISD-A) 중 영향요인에 관련된 문항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통합체육의 자기효능감 수준은 자기효능감의 영향요인 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그 설명도는 성공경험과 사회적 설득 순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리경험 은 유의한 회귀계수로 사용되지 못하였다. 지체장애학생에 대한 통합체육의 자기효능감 수준은 지적장애와 마찬가지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지체장애학생에서는 성공경험, 대리경험, 사회적 설득 순으로 강한 설명도를 보여주고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 수집
3. 설문도구
4. 자료처리방법
Ⅲ. 결과
1.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예비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요인의 평균
3. 지적장애학생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영향요인의 관계
4. 지체장애학생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영향요인의 관계
Ⅳ. 논의
Ⅴ. 연구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고영환 YoungHwan Koh. 중부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