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인문사회과학영역

태권도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 구조

원문정보

A Structure of Aesthetic Experience in Taekwondo Revolution Kick Practitioner

권혁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experienced by practitioners of Taekwondo. For this purpose, the aesthetic experience structure of the practitioner was acquired as a motor sensational perception, and based on the personality(諸性格)of aesthetic mood suggested by 樋口 聰(1987). Thi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revolution kick can be said to be spatial beauty as an aesthetic mood. In other words, The space is a competition place, and the movement of the practitioner is formed by the aesthetic experience. Second,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revolution kick can be said to have been ontological beauty in competitive situations and at a high technical level. In other words, the practitioner has reached the level of the kick in the technical area above the level, and it is the aesthetical feeling that has high technical level and efficiency. Third, the technical realization of the revolution kick can be called aesthetic experience as technical beauty. In other words, it is realized by the acquisition of skills and skills as an action by the exercise sensation. Fourth,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kicking practitioner can be said to be time beauty as an aesthetical feeling in time succession. In other words, it is an aesthetic experience in which the practitioner's rotation and the kicking technique are expressed. Therefore, spatial beauty, ontological beauty, technical beauty, and time beauty by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Taekwondo revolution kick practitioner are important as aesthetic values of Taekwondo philosophy.

한국어

이 연구는 태권도 회전발차가 실천자가 체험하는 미적 체험의 구조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실천자의 미적 체험 구조를 운동감각적 지각으로서 획득하고 樋口 聰(1987)이 제시한 미적 기분의 제성격(諸性格)을 토대로 구명 하였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미적 기분으로서 공간미라고 할 수 있다. 즉 공간은 시합장소로서 실천자의 운동적 행동이 미적 체험으로 형성된다. 둘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경쟁적 상황과 높은 기술적 수준에서 획득한 존재미라고 할 수 있다. 즉 실천자가 회전발차기 수준을 기술적 영역 안에서 수준 이상까지 도달한 상태로서 높은 기술적 수준과 효율성을 지닐 때 느끼는 미적 기분이다. 셋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기술 실현은 미적 기분으로서 미적 체험을 기술미라고 할 수 있다. 즉 실천자의 운동감각에 의한 행위로써 기술의 습득이나 기술에 의해 실현된다. 넷째,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은 시간 연속상의 미적 기분으로서 시간미라고 할 수 있다. 즉 실천자의 회전의 연속과 발차기 기술의 연속으로 표출되는 데서의 미적 체험이다. 따라서 태권도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에 의한 공간미, 존재미, 기술미, 시간미는 태권도 철학의 미적 가치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미적 체험의 이해
1. 미적 지각
2. 운동감각적 지각
Ⅲ. 태권도 회전발차기 실천자의 미적 체험
1. 공간미
2. 존재미
3. 기술미
4. 시간미
Ⅳ.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권혁정 Kwon, Hyeok-Jeong. 동아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