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중년 여성의 저항성 운동 기간이 면역세포 및 코티졸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Resistance Training Periods on the Immune Cell and Cortisol in the Middle Aged Older of Female

이삼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sistance training has been recommended muscular- and neuro-system. The level of testosterone and cortisol have been known as excellent marker of training effect. Also, FFA is good index of lipid metabolism during the exercis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anabolic responses and lipid metabolism after resistance exercise of high level intensity(HI:10reps at 80% of 1RM, 3sets), moderate level intensity(MI:13reps at 60% of 1RM, 3sets), and low level intensity(LI:20reps at 40% of 1RM, 3se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4 women, who didn't have history of cardiopulmonary diseases and medical problems. Approximately, total exercise volume was 39,000J and resting time had 1minute on all of the exercise protocols. Hormonal concentration was measured at three different times: pre, post and recovery thirty minutes of the exerc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hown as followed;The intensity of resistance exercise was not shown the differences in anabolic responses. But, these data shown the trend that slight high in 60% of 1RM. Furthermore, FFA wasn't significantly change after all of the exercise protoco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oper intensity for muscle hypertrophy is applicable to 60% of 1RM. Also, Immune cell and level of cortisol is dependent to uration of resistance exercise.

한국어

저항성 훈련은 신경 근육 시스템에 대한 주요 강력한 자극이며, testosterone 호르몬의 비율은 저항성 훈련의 효과에 대한 검증의 좋은 지표로 알려져 있다. 저항성 훈련동안의 지질 대사의 좋은 지표는 또한 FFA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강도의 저항성 훈련 이후에 단백질 동화 반응과 지질 대사 운동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있다. 고강도는 1RM의 80%, 3sets, 10회 반복(HI), 중정도의 강도는 1RM의 60%, 13회, 3sets(MI), 그리고 저강도는 1RM의 40%, 3sets 20회(LI)로 실시를 하였다. 피험자는 누구나 심폐 질환과 의료 문제가 없는 14명의 여성들로 자발적인 참여를 하였다. 운동의 총량(total volume)은 39,000J, 휴식시간은 1분으로 실시를 하였다. 호르몬 농도 측정은 3번 실시를 하였으며, 운동전-중-운동후 회복기 30분에서 측정을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동화반응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 만, 본 연구에서 고강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1RM의 60%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FFA는 운동후 모든 강도 에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 근육의 발달을 위한 적절한 강도는 1RM의 60%에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운동방법
3. 자료처리
Ⅲ. 결과
1.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2. CD8의 훈련기간에 따른 반복측정 분산분석결과
3. 코티졸의 훈련기간에 따른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삼준 Lee Sam-Jun. 동명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