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홈트레이닝 지도자의 멘토링과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oring and Exercise Immersion and Exercise Intention of Home Training Leaders

김송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training instructor's mentoring,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continuance intention. For this purpose, the population of the home training participants belonging to Seoul, Gyeonggi, and Chungnam provinces was selected through three home training companies. A total of 220 samples were collected for nine months from February to October 2019. A total of 200 copi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subjects except for 20 copies of questionnaires that were judged to have inconsistent or insincere responses to the content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single-dimensiona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e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Version and Amos 21.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ntoring of home training leader was found to have a causal relationship with exercise commitment. Second, mentoring of home training leader was found to have a causal relationship with exercise continuance intention. Third, home training exercise commitment had a causal relationship with exercise continuance intention.

한국어

본 연구는 홈트레이닝 지도자의 멘토링과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사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3개의 홈트레이닝 회사를 통해 서울·경기·충남에 소속되어 있는 홈트레이닝 참여자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2019년 2월부터 10월까지 9개월 동안 총 220명의 표본을 수집하였다. 내용에 일관성이 없거나 불성실하 게 응답한 것으로 판단된 20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00부를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SPSS 23.0 Version 및 Amos 21.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단일차원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 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e equation model)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홈트레이 닝 지도자의 멘토링은 운동몰입의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홈트레이닝 지도자의 멘토링은 운동지속의사 의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홈트레이닝 운동몰입은 운동지속의사의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모형 및 가설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도구
3. 조사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4. 조사절차
5. 자료처리
Ⅲ. 결과
1. 상관관계분석
2. 연구모형의 적합도
3. 가설검증
Ⅳ. 논의
1. 멘토링과 운동몰입의 관계
2. 멘토링과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3.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사의 관계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송은 Kim, song-eun. 인하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