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ructure by analyzing keyword themes about participation recognition of college badminton club members.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the open questionnaire and the keywords were collected in the form of words. A total of 137 videos and 1,228 comments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extracted badminton keyword structure. The badminton keyword structure related to leisure activities appearing on YouTube through this research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n keyword analysis, 'China', 'activity' and 'people' were the highest. Second, in the centrality analysis, 'activity', 'today' and 'health' were high. Thir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he video uploaders consisted of keywords with five large structures, and the comments consisted of one word centered on China. In other words, the main communication of SNS was the cause and prevention information about badminton, and there was a lack of contents such as the response strategy of participation awareness in leisure activities. In addition, the results of keyword analysis of video users and comments are different.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 data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dealing with the contents of participation awareness in leisure activities.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교 배드민턴 동호인의 참여인식 대한 키워드 주제를 분석하여 그 구조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대학생들의 배드민턴에 대한 인식을 개방형 설문지로 질문하고 단어형식으로 키워드를 수집하였 다. 추출 된배드민턴의 키워드 구조를 규명하기 위해 총 137 개의 동영상과 1,228 개의 댓글을 분석했다. 본 연구 분석을 통해 YouTube에 나타나는 여가 활동과 관련된 배드민턴 키워드 구조는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분석에서는 ‘중국’, ‘활동’, ‘사람’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중앙성 분석에서는 ‘활동’, ‘오늘’, ‘건강’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클러스터 분석 결과 동영상을 업로드 하는 사람들은 5개의 큰 구조로 키워드가 구성되어 있었으며, 댓글은 중국을 중심으로 하나의 단어 로 구성되어 있었다. 즉, SNS의 주요 의사소통은 배드민턴에 대한 원인과 예방 정보였으며 여가활동에서 나타나는 참여 인식의 대응 전략과 같은 내용은 부족했다. 또한, 동영상 사용자와 댓글의 키워드 분석결과 구조가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 서 여가활동에서 참여 인식에 대한 콘텐츠를 다루기 위해 본 연구의 자료가 기초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자료수집
3. 자료 분석
Ⅲ. 결과
1. 태도에 따른 중앙성 분석
2. 통제에 따른 중앙성 분석
3. 주관적 규범에 따른 중앙성 분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