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 of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on the Social Adaptation Behavior and Self-efficiency of Disabled students
초록
영어
In this study, The aim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as well as local social welfare services on the social adaptation behavior and self-efficiency of disabled students. To this end, a preliminary investigation, program execution, and post-examination was conducted on 5 disabled students during a period of 6 months from March 6th of 2018 to September 5th of the same year.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as well as local social welfare services appear to be closely related to the social adaptation behavior of the disabled students, especially in terms of social cognition, interpersonal relations, social adaptation, and vocational function. Second, participating in local social welfare services has been proven to improve the self-efficiency of the subjects, leading to increased self-confidence and trust in their own abilitie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positively accepted by the residential educators, local social welfare service researchers, disabled center workers, volunteer workers, and family members of the students, it proposes a practical implication for creating more diverse social adaptation behavior improvement programs by connecting residential and itinerant education with local social welfare services.
한국어
이 연구는 장애학생이 받는 재택순회교육과 지역사회복지서비스가 사회적응행동과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을 살펴보기 위하여 효과성 연구를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8년 3월 6일부터 9월 5일까지 6개월 동안 7명의 장애학생 으로 구성하여 사전조사와 개입까지 참여하였으나 건강상의 이유로 2명의 장애학생이 끝까지 참여하지 못하여 사후검 사에서는 5명의 장애학생이 참여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재택순회교육을 받으며 지 역사회서비스를 받은 장애학생들은 사회적응행동 영역에서 사회인지, 대인관계, 사회적응, 직업기능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지역사회복지서비스에 참여함으로서 자아효능감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자신 의 과제능력에 대한 자신감 및 신뢰감이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한 재택순회교육 교사, 지역사회 복지서비스를 진행했던 연구자, 장애인복지관 종사자, 자원봉사자, 장애학생의 가족 등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러 한 결과를 토대로 재택순회교육과 지역사회복지서비스를 연계하므로 장애학생의 사회통합을 위하여 사회적응행동 프로 그램이 다양화 되어야 함을 기초자료로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절차
2.2 연구참여자
2.3 검사도구
2.4 연구절차
2.5 자료처리
3. 연구결과
3.1 사회적응행동 변화
3.2 자아효능감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