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21세기 재난소설의 ‘비장소(Non-Place)’와 경계 사유 - 편혜영의 재난소설 3부작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Non-Place’ and ‘Border Thinking’ in 21st Century Disaster Novels: Focusing on Pyun Hye-Young's Disaster Trilogy

김미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ce the early 21st century, there have been a lot of Korean novels criticising the dehumanization of capitalism through catastrophe, disaster and apocalyptic worldviews. In novels by Pyun Hye-Young in particular, narratives are developed based on such ‘super modernity’. Focusing on Pyun’s trilogy of disaster, City of Ash and Red, Went to the West Forest, and The Hole, it is possible to see the works questioning the disorder of 21st century disasters. The novels do this by showing ‘non-place’ spaces, differing either from an overly optimistic or pessimistic view. ‘Non-place’ is neither utopia nor dystopia. Rather, it is characteristic of in-between disorder, indeterminacy and flexibility. Hence the existing arguments that regard these works as a variety of ‘dystopia’ are limited. The ‘non-places’ in Pyun Hye-Young’s disaster trilogy each have a particular character: mobility City of Ash and Red, perviousness Went to the West Forest, and the void The Hole. In the novels, the symbols of ‘non-place’ are ship, forest and hole. Pyun Hye-Young’s novels have significance in that they criticise modern civilization not as status but as situation, and also not as result but as process, through such aspects of ‘non-place’. Above all, the aspects of ‘non-place’ in Pyun Hye-Young’s novels show ‘border thinking’, not in ‘post-border’ but in ‘trans-border’. Finally ‘non-place’ is not ‘place’ and ‘space’, even though it may be considered ‘anthropological space’, because ‘border thinking’ is based on the denial of rule and fixability, instead pursuing irregulation, temporality and disorder.

한국어

편혜영의 재난소설 3부작인 『재와 빨강』, 『서쪽 숲에 갔다』, 『홀』은 관계성·역사성·정체성 중심의 전통적인 인류학적 공간과는 ‘다른 공간’으로서의 기능에 충실하고 있다. 표류 중심의 이동성(『재와 빨강』), 환승 중심의 일시성(『서쪽 숲에 갔다』), 공백 중심의 개방성(『홀』)은 ‘비장소’의 무규정성과 혼란을 각각 대변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이 소설들은 자본으로 인한 타락이나 인간성의 소멸을 비장소를 중심으로 새롭게 구성함으로써 더욱 공고해진 21세기적 재난에 대한 자동화된 저항이나 낙관적 전망을 동시에 비판한다. 이처럼 편혜영의 재난소설 3부작을 비장소 중심으로 접근해 봄으로써 묵시록적 재난을 초래한 인간의 유죄성에 주목할 수 있다. 또한 비장소를 통해 전통적인 인류학적 공간조차도 해결하지 못했던 모순 자체를 새롭게 부각시킬 수도 있다. 무엇보다도 비장소만의 특수성과 의의는 ‘경계 사유’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데에 있다. 이런 이점들을 통해 편혜영의 재난소설 3부작 속 비장소는 장소/장소 상실, 저항 공간/대안 공간, 유토피아/디스토피아 등으로 대변되는 이분법적 대립의 손쉬운 결합이나 확실한 반전을 모두 거부하는 ‘다른 공간’으로 기능한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 21세기 재난소설의 공간 전유, 장소 상실에서 비장소로
2. 표류공간의 이동성, ‘배(船)’라는 비장소 : 『재와 빨강』
3. 미로에서의 환승, ‘숲’을 통과하기 : 『서쪽 숲에 갔다』
4. 공백(空白)의 공동체, 비장소의 ‘텅 빔’ : 『홀』
5. 결론 : ‘다른 공간’으로서의 비장소와 경계 사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미현 Kim Mi-hyun. 이화여자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