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유 주제

「담낭전」의 존재 양상과 의의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Damnangjeon's aspects of existence and significance

신희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ce and significance of the question and answer novel Damnangjeon, and to examine the aspects of Korean Q & A style novels in the later Joseon(朝鮮) period. This study is to examine ten types of Damnangjeon and divided into three series based on basic narrative structure. ① Presence of the Damnang ② Taesoo's Question and Damnang's Answer ③ Taesoo admits Damnang's intelligence. Based on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 it is classified into three series. In this study, based on the basic narrative structure, it is classified into three series. Three series of Dangnangjeon share the same protagonist and narrative structure, but the characters and the development of events are different. The Q & A in Damangjeon contains various genres such as knowledge of Confucian scriptures, shamanism, and novels. This means that Damangjeon shows typicality of manuscript novels. The biggest feature of Q & A in Damangjeon is that there is no argument. The existence of the Korean manuscript Dangnangjeon shows that the enjoyment of Q & A style has been extended to the enjoyment layer of Korean novels. The appropriation and transformation in the Damangjeon starts from the knowledge of the middle class in the later Joseon(朝鮮) period . And reflects the tendency to show off their knowledge based on what the middle class has learned along with the demands for the works that encompass stories and knowledge.

한국어

본 연구는 한글 문답체 소설인 「담낭전」을 분석함으로써 조선후기 문답체 소설의 특징 안에서 한글 문답체 소설이 보여주는 양상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담낭전」의 다양한 이본을 제시하고 작품 안에서 전개되는 문답을 조선후기 지식의 향유와 저변화의 측면에서 논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10종의 「담낭전」 이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① 담낭의 존재 ② 담낭의 총명함에 대한 태수의 질문과 담낭의 대답 ③ 태수가 담낭의 총명을 인정(상급)의 기본 서사 구조를 바탕으로 세 계열로 분류하였다. 「담낭전」 세 계열은 동일한 주인공과 일정한 서사 구조를 공유하면서도 등장 인물과 사건 전개에 있어 각각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삼강오륜과 중국의 역사를 첫 질문으로 하는 것은 「담낭전」 문답의 특징이다. 문답의 항목과 세부적인 서술이 이본마다 다르지만 전체적인 맥락에서 유교적 윤리 강목과 경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경서에서 출발한 「담낭전」의 문답은 주역에서 무속 신앙과 만나고 이는 다시 소설과 연결되는 특징을 가진다는 점에서 「담낭전」의 문답 내용은 유교 경서의 지식과 무속 신앙 그리고 소설 등의 다양한 장르를 담아내고 있다. 이는 「담낭전」이 필사본 소설의 전형성을 보여준다는 의미를 가진다. 「담낭전」 문답의 가장 큰 특징은 논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한글 필사본 「담낭전」의 존재는 문답체 형식의 향유가 한글 소설의 향유층으로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상층문학을 하층에서 적극 수용하면서 이념 뿐 아니라 문화, 관습, 지식을 전유하는 과정을 통해 이를 문학 작품에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담낭전」에 나타나는 전유와 변용은 중인들이 가진 지식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이야기와 지식을 아우르는 작품에 대한 요구와 함께 중인층이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들의 지식을 과시하려는 경향이 반영되어 있다.

목차

<국문개요>
1. 서론
2. 「담낭전」 이본 분석
3. 「담낭전」 문답의 특징
4. 「담낭전」의 형성배경
5. 결론 - 「담낭전」의 문학사적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신희경 Shin, Heekyung.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