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確定期限이 있는 채권의 소멸시효 起算日에 관한 短見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arting Point of Extinction Prescription as to the Obligatory Right with fixed Term

확정기한이 있는 채권의 소멸시효 기산일에 관한 단견

한승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garding the obligatory right to have a starting point(the obligatory right with fixed term), in the calculation of the date, the extinctive prescription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started from the time the due date is reached, still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day appointed for payment is included in the proceed of the extinctive prescription. While this is unlikely to be a problem in practice, it is likely to be helpful in understanding the principle of exclusion of the date on which the period commences and the our extinction prescription system. On this issue two approaches are possible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Korean Civil Code, but the majority of the view was that the extinctive prescription would go into effect from the following day. I believe that all of the above views have rationality within our civil law system, but I think it is more reasonable to include the date of reimbursement in the calculation of the statute of limitations. There are three reasons for this: First, there is no reason not to include a full day in the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Article 157 of the Civil Code on period. This is not subject to the principle of exclusion of the date on which the period commences. Second, interpreting the contents of a statement made by the parties makes it difficult to say that the party with a right is motivated to limit the scope of the exercise of rights on its own on that day. Finally, it could be noted that, on the day of due date, no legal impediment exists and the exercise of rights is possible in relation to the proceed of extinctive prescription.

한국어

始期附 權利 중 확정기한부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기한이 도래한 때로부터 시효 가 진행된다고 보는데, 구체적으로 변제기 당일에도 시효가 진행되는지가 문제된다. 이와 같은 점이 실제 사안에서 문제될 가능성은 낮으나, 초일불산입의 원칙이나 소멸 시효 제도의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이에 관하여는 우리 민법 규정의 해석상 두 가지 접근이 가능한데, 기존에는 그 변 제기 당일은 불산입하여 그 익일부터 소멸시효가 진행한다고 보는 견해가 다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두 견해 모두 우리 민법 체계 내에서 합리성을 가지고 있다고 보지만, 변제기를 산입하는 입장이 보다 합리적이지 않은가 생각한다. 그 이유로는 대 략 다음의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먼저, 기간에 관한 민법 제157조의 합리적 해석상 온전한 하루를 불산입할 이유가 없다. 이는 초일불산입 원칙의 적용대상이 아니다. 둘 째, 당사자의 의사해석을 하더라도 당사자들이 스스로 권리행사의 범위를 제한하는 쪽 으로 의욕하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소멸시효의 진행과 관련하여 변제기일 당일에도 법률상 장애가 존재하지 아니하여 권리행사가 가능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소멸시효 제도의 취지, 현행 민법의 기본태도에도 부합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목차

국문초록
I. 논의의 대상
II. 우리 실무 및 학설의 태도
III. 일본에서의 논의
IV. 檢討
V. 結語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승수 HAN, Seungsoo.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부교수, 변호사(대한민국, 미국 뉴욕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