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박태원의 『천변풍경』(韓)과 또호아이의 『그들의 고향』(越)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Park Taewon’s ChunByunPoongKyung and To Hoai’s Que Nguoi

강하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ark Taewon’s ChunByunPoongKyung (1938) and To Hoai’s Que Nguoi (1941) are the novels of manners(called ‘tiểu thuyết phong tục’ in Viet Nam) that address various aspects of everyday life of Korean and Vietnamese people in the 1930s. This paper examines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Park Taewon’s ChunByunPoongKyung, and To Hoai’s Que Nguoi in terms of manners and social conditions, and compares and analyzes Korean and Vietnamese manners and social conditions in the 1930s, as depicted by each novel. The two novels are were created around the same time, and they are based in the 1930s as an era background for their works, and each have the same thing as a limited space, called Cheonggye Stream in Seoul and Nha Village in Hanoi's Buoi district. We could see that both novels deal with emerging occupational groups, the separation of families, rural exodus and the harmful effects of the patriarchal system. In addition to the commonality that various spaces where "meeting and exchanging information" are made appear in the novel, one could also find common ground in narrative techniques that focus on external description and use spoken expression in dialogues between characters in order to objectively represent characters’ everyday lives. The difference stood out in the female character. In the ChunByunPoongKyung female figures are mainly portrayed as unable to escape from the universal order of the feudal patriarchal system, while in Que Nguoi, female figures are portrayed as more actively thinking and taking initiative in their own destiny. This showed that the status and role of women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Vietnamese society, which is relatively equal to men. Also, ChunByunPoongKyung is a novel that features its camera technique. The narrator’s camera travels around the space freely, so fast rhythm is conveyed. On the other hand, in Que Nguoi, there is a monotonous, slow rhythm due to many flashbacks, descriptions, and explanations of manners. ChunByunPoongKyung is a representative Korean novel of manners that best depicts changes in the city's status and recognition, and Que Nguoi can be regarded as a representative Vietnamese novel of manners whose vivid description of traditional customs in the area near Hanoi is the most characteristic.

한국어

초록 close 본 논문에서는 20세기 전반 한국과 베트남의 대표적 세태소설(베트남에서는 풍속소설이라 함)인 박태원의 『천변풍경』(1938)과 또호아이(Tô Hoài)의 『그들의 고향(Quê người)』(1941)을 비교 분석하여 작품 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 세태소설로서의 의의와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두 작품은 비슷한 시기에 창작되었고, 1930년대를 작품의 시대적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각각 서울 청계천변과 하노이 브어이(Bưởi)지역 냐(Nha)마을이라는 한정된 공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갖고 있는 작품이다. 작품 간 실제 구성 비교를 통해 두 작품이 공통적으로 신흥 직업군의 대두, 가족의 이산, 이향 현상 및 가부장제의 폐해 양상 등을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만남과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다양한 공간이 작품 속에 나타난다는 공통점 외에도, 인물의 일상적인 모습을 구현하기 위해 외부 묘사에 치중하고 구어체를 인물의 대화에 주로 사용하고 있다는 서술 기법 상의 공통점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차이점은 여성 인물에서 두드러져 나타났다. 『천변풍경』에서 여성 인물은 주로 봉건적 가부장제의 보편적 질서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는 반면, 『그들의 고향』에서는 여성 인물이 보다 적극적으로 사고하고 자신의 운명을 주도적으로 선택하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이는 여성의 지위와 역할이 상대적으로 남성과 대등한 베트남 사회의 특성을 반영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천변풍경』이 사건의 동시성을 확보하는 카메라 기법의 사용으로 리듬감과 약동감을 전달하는 반면, 『그들의 고향』은 인물의 과거 이야기와 마을의 풍경, 풍속에 대한 묘사와 설명이 빈번하여 단조롭고 느린 리듬감을 전달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두드러져 나타났다. 『천변풍경』은 도시의 세태, 인정 변화를 가장 잘 그려낸 한국의 대표적 세태소설로, 『그들의 고향』은 하노이 인근 지역의 전통 풍속에 대한 생생한 묘사가 가장 큰 특징인 베트남의 대표적 세태소설(풍속소설)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작가의 생애와 작품 세계
Ⅲ. 양 작품의 실제 비교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하나 Kang Ha-na. 사이버한국외국어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9,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