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가족응집력이 정서·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 교사, 교우 관계를 매개변인으로

원문정보

The Effects of Family Cohesion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 by the Mediater Variable with Teachers and Relationship with Peers

이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s which family cohesion has on th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in middle school students, sampling 375 of 1st, 2nd and 3rd grades middle school students. Also,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relationship with peers considering that the social relationship in middle school students of adolescence expands to teachers and peers and is a important developmental st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amily cohesion is shown to have direct effects on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in middle school students. Also, relationship with teachers is shown to have direct effects on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However, relationship with peers is shown to have direct effects on internal problems while it is shown to have insignificant results statistically on external problems.

한국어

본 연구는 중학교 1, 2, 3학년 375명을 대상으로 가족응집력이 중학생들의 정서, 행동문제(내재화문제, 외현화문 제)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청소년기인 중학생의 사회적 관계가 교사 및 교우로 확대되고 또한 중요해지는 발달단계임을 고려하여 교사관계와 교우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는 다음과 같다. 가족응집력은 중학생들의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에 모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 관계도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에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우관계는 내재화문제에는 직접효과가 있 으나, 외현화문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 대상
2.2 연구 도구
2.3 연구 모형
2.4 자료 분석
3. 연구결과
3.1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3.2 가족응집력과 교사관계, 교우관계 그리고 내재화문제, 외현화문제 인과관계 분석
4. 논의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이경호 Kyung Ho Lee. 광주교육대학교 통합교육지원센터 부소장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