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dentify the factor affecting alcohol use disorder in Korean women. This study used the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s Survey and analyz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related factors and alcohol use disorder.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5.0 program. As a result, the prevalence of alcohol use disorder in Korean women was 14.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marital status, educations level, occupation, smoking, stress, melancholy. By logistic regression, the risk factors of alcohol use disorder were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smoking, melancho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on the alcohol use disorder of single-working women should be conducted in considering of various variable.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한국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중재를 위한 기초자료 를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만 19세 이상 여성을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및 알코올사용장애 여부를 파악하였다. 자료분석은 IBM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 하여 복합표본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유병률은 14.7%였으며 알코올사용장애군과 정상군은 연령, 결혼 여부, 교육수준, 경제활동 여부, 흡연 여부, 스트레스 인지 정도, 우울증상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 가 있었다. 알코올사용장애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알코올사용장애 유병 위험은 연령이 낮을 경우 4.0배, 미혼일 경우 1.6배,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1.6배, 흡연을 하는 경우 4.3배, 우울증상이 있는 경우 1.9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경제활동을 하는 미혼 여성의 음주와 흡연 여부, 우울증상을 파악하고 함께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 며, 추후 다양한 변수를 포함한 경제활동을 하는 미혼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위험요인에 대한 연구를 제언한다.
목차
Abstract The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 설계
2.2 연구 대상
2.3 분석 항목
2.4 자료 분석
3. 연구결과
3.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알코올사용장애군과 정상군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의 차이
3.3 한국 여성의 알코올사용장애 영향요인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