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책

재난안전관리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데이터관리정책 방향에 관한 소고

원문정보

A study on data management policy direction for disaster safety management governance

김영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addition to the proliferation of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the field of disaster management is being approached from a multifaceted perspective. In particular, as the interest in establishing a disaster safety management system using data increases, there is an increasing need for a large amount of big data distribution generated in real time and a systematic management. Furthermore, efforts are being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data in order to increase the prevention effect of disasters through data analysis and to make a system that can respond effectively and to predict the overall situation caused by the disasters. Disaster management should seek both precautionary measures and quick responses in the event of a disaster as well as a technical approach to establishing governance and safety. This study explores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 significance and structure of disaster safety management governance using data.

한국어

지능정보기술의 확산과 더불어 재난관리 분야도 이전과 달리 다각적인 시각에서 접근이 되고 있다. 특히 데이터 를 활용한 재난안전관리체계 구축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시간 생성되는 다량의 빅데이터 유통과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 할 필요성이 있다. 나아가 데이터 분석을 통한 재난의 예방효과를 높여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체제 구성과 재난으로 인한 전반적인 상황 등을 예측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데이터의 품질 제고 등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재난관리는 사전 예방조치는 물론 재난 발생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함에 기술적인 접근뿐만 아니라 안전과 관련한 거버넌스 구축도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관리 거버넌스의 의의 와 구축체계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모색하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재난안전관리에 관한 논의
2.1 재난안전의 의미
2.2 재난안전관리체제의 주요 내용 및 함의
2.3 지자체 재난안전관리 체계의 주요 쟁점
3. 재난안전관리 거버넌스구축과 데이터 활용
3.1 재난안전관리체제의 기존논의
3.2 재난안전관리 거버넌스체제 사례
3.3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안전관리체제의 쟁점
3.4 재난안전관리를 위한 데이터거버넌스 구축과 방향
4.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영미 Young Mi Kim. 상명대학교 공공인재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