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ovement control exercise of hip joint using visual EMG biofeedback on hip joint muscles in healthy adults. This study was nonequivalent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Twenty-one healthy adults were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subjects conducted movemnet control exercise(MCE) using electromyography(EMG) biofeedback of hip joint durng 20 min. The outcome measures included surface eletromyography. Surface electromyography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Gluteus medius (Gmed), Gluteus maximus (Gmax),and Tensor fasciae latae(TFL), rectus femoris(RF) during small knee bending (SKB) 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luteus maximus muscle activity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p < 0.05). The findings suggest that Movement control exercise using EMG biofeedback for limiting hip internal rotation is effective in activating the hip external rotator muscles. in addition, this study showed that rehabilitation exercise combined with ICT convergence technology could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clinical practice.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장비를 사용하여 움직임 조절운동을 수행할 때 엉덩관절 근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유사실험설계 단일집단 검사전-검사후 설계이다. 건강한 성인 21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장비를 사용하여 엉덩관절의 움직임 조절 운동을 총 20분간 수행하였다. 적은무릎 구부리기 검사 수행동안 엉덩관절의 근활성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중간볼기근, 큰볼기근, 넙다 리근막긴장근, 넙다리 곧은근의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중재 후 큰볼기근의 유의한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근전도 바이오피드백 장비를 적용한 엉덩과절 움직임 조절운동이 엉덩관절의 안쪽돌림을 조절하고 엉덩 관절 가쪽돌림근을 활성화시키는 효과적 중재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ICT 융합기술을 접목한 재활운동이 임상에서 효과적인 중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대상
2.2 실험절차
2.3 측정 장비 및 데이터 처리
2.4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3. 연구 결과
3.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2 엉덩관절 근육의 근활성도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