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RESEARCH ARTICLE

Can Wearables Measure Aesthetic Responses to Fashion Products?

원문정보

패션제품에 대한 심미성 반응 측정도구로서 웨어러블의 가능성 탐구

Jisoo Park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potential of wearables as a new tool for measuring consumer response to products by quantitatively measuring the 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aesthetical differences (high vs. low) on the basis of product appearance; we als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hysiological measurements and self-reported responses. Methods: After employing the perfume products as stimulants, we divided them in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high and low aesthetic as aspects; furthermore, we randomly assigned participants to one of those two groups. While browsing through the products, participants’ heart rates and galvanic skin responses, on the basis of their perceptions of the perfumes’ aesthetics, were measured with wearables. We also gathered the participants’ responses through self-reported surveys. Results: Differences in heart rate and heart rate variability in response to perceived aesthetic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we did observe an interaction between product preferences and perceived aesthetics. Products with high aesthetics and personal preferences as revealed through the surveys induced greater heart rate variability: such products also tended to cause more galvanic skin responses. Among the physiological data, skin electro-conductivity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correlation with the subjective assessment of perceived aesthetics.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physiological responses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aesthetical levels of product appearance and are consistent with self-reported perceived aesthetics. These results can be expanded to various product groups and employed to perform marketing to consumers.

한국어

목적: 본 연구는 제품 외관의 심미성 변화(고 vs. 저)에 따른 생리적 반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자기기입식 설문에 대한 응답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소비자 반응의 새로운 측정도구로서 웨어러블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향후 과학적 데이터로 활용하는 방안 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향수 제품을 대상으로 외관의 심미성이 높은 제품과 낮은 제품을 자극물로 개발한 후, 참가자를 심미성 고/저 자극물에 무작위로 배정하여 웨어러블 기기와 자기기입식 설문으로 심미성 지각 반응을 측정하였다. 결과: 심미성 고저에 따 른 심박수, 심박수의 변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제품에 대한 선호와 심미성 고저의 상호작용이 확인되어 심 미성이 높고 개인의 선호에도 부합하는 제품은 심박수 변산을 확대함이 관찰되었다. 심미성이 높은 제품은 낮은 제품에 비해 피부 전도도의 상승을 더 많은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적 데이터 중 피부전도도만이 심미성 지각에 대한 주관적 평가와 상관관 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심미성에 차이를 보이는 제품들에 대한 생리적 반응에도 차이를 보이고, 자기기입식 설문과의 연관 성이 관찰됨에 따라 웨어러블 기기의 심미성 반응 측정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제품군으로 결과를 확대하고, 소비 자를 대상으로 타겟 마케팅을 수행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중국어

目的: 本研究通过根据产品外观定量测量对美学差异(高与低)的生理反应,探索Wearables设备作为衡量消费 者对产品反应的新工具的潜力;我们还检查了生理测量值与自我报告的反应之间的相关性。方法: 在将香料产品 用作刺激剂后,我们根据其高低审美的方面将它们分为两组。此外,我们将参与者随机分配到这两个组之一。 浏览产品时,根据对香水美学的看法,参与者使用Wearables设备测量其心跳和皮肤电反应。我们还通过自我报 告的调查收集了参与者的反馈。结果: 心率和心率变异性对感知美感的反应差异无统计学意义。但是,我们确实 观察到了产品偏好与感知美学之间的相互作用。通过调查发现,具有较高美学和个人偏爱的产品引起更大的心 率变异性:此类产品还倾向于引起更多的皮肤电反应。在生理数据中,发现皮肤电导率与感知美感的主观评估 最相关。结论: 我们确认生理反应根据产品外观的美学水平而有所不同,并且与自我报告的感知美学一致。这些 结果可以扩展到各种产品组,并用于对消费者进行营销。

목차

Abstract
Introduction
Methods
1. 자극물 개발
2. 실험 및 자료 수집
3. 자료분석
Results and Discussion
1. 실험참가자 특성
2. 자극물 조작 검증
3. 심미성 고저에 따른 생리적 반응
4. 생리적 측정치와 주관적 평가의 비교
Conclusion
References
국문초록
中文摘要

저자정보

  • Jisoo Park 박지수. Research Institut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