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통 보자기를 활용한 스카프 디자인 개발 - 조각보와 자수보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Scarf design development using traditional Bojagi - Focused on Jogakbo and Jasubo -

김혜은, 정성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is a practical study aimed at making modern cultural fashion products by utilizing traditional beauty. As a result, scarves were produced with the motif of Jogakbo(patchwork wrapping cloth) and Jasubo(embroidery wrapping cloth), which express well about the Joseon culture and aesthetic sense in one piece of cloth as a final point of fashion wearing and frequently used gifts for foreigners. Through theoretical studies of Jogakbo and Jasubo, the composition, form, and color were examined and their symbolism and meaning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product development are as follows. Firstly, Jogakbo and Jasubo have the beauty of simple decoration, folk art, nature (inorganic arts, unplanned planning), instinctual aesthetics (inborn aesthetic sense), economic feasibility, art of daily commodities, mind of cherishing things. They are also characterized by the aesthetics of lines and modern formative aesthetics. Secondl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scarf inspired by Jogakbo, three scarves of 19C were used to develop the pattern of the patch as it is, or by rearranging and changing the colors according to the season. Thus, six pieces of scarves were developed. Thirdly, after modifying the size, placement, depth of the pattern of four pieces of most frequently used Jasubo, two scarves were made. New pattern is created by adjusting and mixing two pattern motifs and then seven scarves are produced through changing its placement of pattern and colors. The computerized motifs were developed into a scarf by using computer graphic programs. The study tried to reexamine the possibility and value of Korean traditional arts, especially obscure Korean cultural arts as a modern cultural commodity. In particular, in addition to using patterns as they are, they can be transformed, recombined, or graphically modernized to show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modern patterns while integrating the elements of tradition. If we conduct further development while utilizing these points above, we can create new cultural products by bridging the tradition and the contemporary.

한국어

본 연구는 우리만의 전통의 미를 바탕으로 한 문화상품 제작을 목표로 한 디자인 개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조선의 규방 문화와 미의식을 잘 나타내는 조각보와 자수보를 모티브로 가벼운 천 한 폭에 우리의 미를 잘 담을 수 있고 패션 착장의 마지막 연출 포인트로 활용성이 높아 외국인 선물용으로도 많이 사용되는 스카 프를 제작하였다. 조각보와 자수보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구성, 형태, 색감을 고찰하고 그 상징성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디자인 개발 방법으로는 조각보는 원형 그대로의 이미지를 살리거나 재배치하는 방법과 자수보 는 여성적인 모티브인 수화문, 수목문수보를 중심으로 문양을 최대한 살려 그대로 응용 재배치하거나, 여러 수보들의 개체를 분리, 재조합하여 새로운 수 문양을 만드는 방법, 마지막으로 모티브를 그래픽화하여 새로 운 기하학적 문양으로 재탄생 시키는 방법 등을 활용하여 디자인을 연구개발 하였다. 제품 개발을 통해 나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각보, 자수보는 소박한 장식미, 민예미, 자연성, 본능적 심미성, 경제성, 일상품 의 예술화, 기복적 특징 등을 지니며 조각보의 경우 선의 미학, 모던한 형태미의 특징을 가진다. 둘째, 조각보 를 응용한 스카프 개발로 19C 조각보 3점을 통해 조각보 패턴을 원형 그대로 사용하거나, 재배치, 그리고 색상을 계절에 맞게 변형해 총 6점의 스카프를 개발하였다. 셋째, 자수보에서 수화문 4점을 선정하여 1점은 문양을 수정한 후 크기 변화, 불규칙 배치, 농도 조절을 통한 원근감을 이용해 스카프 2점을 개발하였고, 2점 의 수화문, 수군문에 있는 문양들을 분리하여 재조합하고 색상을 변형해 새로운 형태의 수보를 만든 후 배치 를 달리한 스카프 7점과 1점의 화목문 모티브를 컴퓨터 일러스트 도구를 사용하여 그래픽화하고 다양한 색 감을 주어 1점의 스카프를 개발하였다. 모든 제품은 2~3회 이상 재프린트한 후 모델 착장을 통해 상품성 평가 후 최종 16 작품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전통예술, 특히 무명의 규방 문화예술이 현대적 문화 상품으로의 가능성과 가치에 대해 재조명해 보았다. 특히 문양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 외에도 문양을 변형, 재조합하거나 그래픽적으로 변형한 경우 전통의 요소는 가져오면서 색다른 문양 개발의 가능성을 볼 수 있 어, 이를 더욱 활용해 개발하면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는 새로운 문화 상품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전통 보자기: 조각보, 자수보
Ⅲ. 디자인 개발
Ⅳ.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김혜은 Kim, Hye Eun. 동의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조교수
  • 정성혜 Jung, Sung Hye. 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