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중과제훈련을 결합한 허리 관절가동술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 of Lumbar Mobilization Combined with Dual Task Training on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김태영, 이상빈, 유병호, 김지홍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lumbar mobilization combined with dual task training on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In this study, 30 adults who were diagnosed with a stroke were divided into 15 groups, each with a dual task training group, a dual task training group applying joint mobilization to the lumbar from July 1, 2019 to August 31, 2019, it was held for 30 minutes a day for two months, three times a week for a total of eight weeks. The clinical balance evaluation index was measured by K-BBS, and the surface area, step length and average speed were measured using Bioresque. In K-BBS, scores were increased in all groups, and the balance ability was increased in the surface area, step length and average speed using Bioresque. Therefore, the combination of dual task training for the lumbar was thought to have an effect on increasing the balance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s.

한국어

본 연구는 이중과제훈련을 결합한 허리 관절가동술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성인 30명을 이중과제훈련 군, 허리뼈에 관절가동술을 적용한 이중과제훈련 군, 각 15명씩 나누어 2019년 7월 1일부터 2019년 8월 31일까지 2개월간 1일 30분씩, 주 3회, 총 8주간 실시하였다. 임상적 균형 평가 지수로는 한글판 버그균형척도(K-BBS)를 측정하였고, Bioresque를 이용 하여 동요면적, 동요길이, 동요속도를 측정하였다. K-BBS에서는 모든 군에서 점수가 증가하였고, Bioresque를 이용한 동요 면적, 동요 길이, 동요 속도에서도 균형능력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중과제훈련을 결합한 허리 관절 가동술이 만성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능력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서론
2. 연구 방법
2.1 연구대상 및 기간
2.2 연구방법
2.3 측정도구 및 방법
3. 연구 결과
3.1 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태영 Tae Young Kim.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과 대학원생
  • 이상빈 Sang Bin Lee.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 유병호 Byeong Ho Ryu.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학과 교수
  • 김지홍 Ji Hong Kim. 남서울대학교 물리치료과 대학원생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