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Journal of Body Mass Index, Body Shape Dissatisfaction, Eating Behavior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nd level of Body Mass Index, Body Shape Dissatisfaction, Eating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383 students were asked. The survey was analyzed by SPSS Win 21.0 program. 293 were female students and most of the students were normal in BMI(58.2%), and underweight students were the next(14.9%).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ody shape non satisfication and eating behavior and BMI(r=.587, p=.000; r=.174, p=.001),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ody shape non satisfication and age and sleeping time. According to BMI the body shape non satisfication was different in normal and 1 stage obesity students. and 2 stage obesity and under weight students (F=2.993, p=.019;F=2.993, p=.109). As a result of this study, students with body mass index overweight have low body satisfaction, so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right dietary exercise therapy for weight management. And even underweight groups should be mediated so that they undergo normal diet behaviors, rather than restrained dietary behaviors, to maintain health.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체질량지수, 식이 행동, 체형 불만족도 정도를 파악하고, 제 변수들 간의 상관관 계 및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대학생 38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로, 수면시간, 체질량지수, 식이 행동, 및 체형 불만족도 정도는 평균, 표준편차로 제 변수들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BMI에 따른 식이 행동, 및 체형 불만족도 정도의 평균차이는 ANOVA((post-hoc test: Scheffe)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는 여학생 이 293명으로 대상자의 76.5%이었고 체질량지수는 정상군(58.2%), 저체중(14.9%), 2단계 비만(11.2%)순으로 가장 많았 다. 대상자의 변수 간 상관관계에서 체형 불만족도가 나이와, 하루 수면시간과 음의 상관관계(r=-.142, p=.028; r=-.163, p=.001)를, 식이행동과 체질량지수가 양의 상관관계(r=.587, p=.000; r=.174, p=.001)를 보였다. 체질량지수 수준에 따라 식이행동은 1단계 비만군이 저체중군(F=2.993, p=.019)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평균이 높았다. 체형 불만족도에 서는 정상군과 1단계 비만군이 저체중군보다(F=2.993, p=.019), 2단계 비만군이 저체중군과 정상군보다 (F=2.993, p=.109) 평균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 체질량지수가 과체중 이상인 학생은 체형 만족도가 낮으므로 체중 관리에 대한 올바른 식이 운동 요법을 교육할 필요가 있으며 저체중군에 있어서도 저체중을 유지 하기 위한 절제된 식이행동이 아닌 정상 식이 행동을 보일 수 있도록 중재해야 할 것임을 알았다. 이를 근거로 간호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수집
2.5 자료분석
3. 연구결과
3.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체형 불만족도, 식이행동 빈도 및 평균
3.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수면 시간, 식이행동,체형 불만족도간의 상관관계
3.3 대상자의 체질량지수에 따른 식이행동, 체형 불만족도간의 정도차이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