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HyoJeong more clearly and contribute to the personality education for the recovery of the human crisis through the type of HyoJeong. Generally, the reason for the type theory is to reduce to the extent possible for the differences between norms and realities that arise when the conceptualization is strictly implemented. As we note, the type theory is practiced in almost every field of study. The type theory is typically initiated from the three-types theory of dominance by Max Weber. Since 2003, the government has developed actively its personality education plans, but it has failed to make a effective results. South Korea is a country of Eastern etiquette traditionally, filial piety and personality such as cooperation, sharing, and courtesy that have been valued. But, today, South Korea is facing a serious problem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these issues,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the type of ‘positive HyoJeong’ developed from the family center to the national and global standards as follows. First, positive HyoJeong centers on a lineage called a blessing family centered on the heavenly and true parents. Originally, if history began from the true parents of creation, humans were born by people of God and humanity. Secondly, basically, positive HyoJeong is important to develop family harmony and ethnic tradition with the “Up-down love” of parents at home. If we don't seek a new path of change in an environment where violence or sexual violence in the home often occurs daily, then real home and school education are far from here. Thirdly, the government needs to consider actively supporting families with three generations living together in order to foster and develop family-oriented education. Realistically, there is a very lack of “care classes,” so working couples can go to work with confidence if they apply for the program in policy. Grandparents can also contribute a certain part to raising their grandchildren. Fourthly, families of the three generations should be encouraged as the right venue for personality education for the great humanity family with the implementation of “four great love” - love of parents, love of husband-wife, love of brother-sister, and love of children - by restoring morality and cooperating with each other through HyoJeong education.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효정의 유형을 고찰함으로써 효정의 개념을 좀 더 명확히 하고 나아가 위기에 처해 있는 인성교육에 기여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유형론을 하는 이유는 개념화를 엄격하게 구현할 경우 발생하는 규범과 현실의 괴리를 가능한 범 위 내에서 축소하는데 있다. 유형론은 주지하다시피 거의 모든 학문분야에서 행해지 고 있다. 유형론은 대표적으로 막스 베버(Max Weber)의 지배의 3유형론을 시작으로 한다. 또한 막스 베버는 종교의 유형론에서 흔히 ‘교회교파이론(church sect theory)’ 으로 인식되는 종교유형론(typology of religious organizations)에 가장 먼저 관심을 가진 학자로도 알려지고 있다. 한국은 2003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인성교육정책을 시행하였으나 그 결과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러한 사안을 해결하는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가정 중심에서 국가・세계 기준으로 발전한 ‘적극적 효정 유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로, 적극적 효정은 하늘부모님과 참부모님을 중심한 축복가정이라는 혈통을 중심으로 실현된다. 본래 인류시조가 창조본연의 참부모님으로부터 역사가 시작되 었다면 인간은 신성과 인성을 지닌 사람에 의해 태어났다. 둘째로, 기본적으로 적극적 효정교육은 가정에서 부모의 ‘내리사랑’으로 일가의 화목, 종족적인 전통을 발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가정에서의 폭력이나 성폭 력이 자주 매일같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새로운 변화의 길을 모색하지 않는다면, 앞으로 참된 가정교육과 학교교육은 요원한 것이다. 셋째로, 정부는 가정을 중심한 효교육을 육성, 발전시키기 위해 3대가 더불어 생활 하는 가정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현실적으로 ‘돌봄 교 실’이 매우 부족하기 때문에 정책적으로 지원한다면 맞벌이 부부가 안심하고 직장에 출근할 수 있으며, 조부모는 손녀와 손자에 대한 육아에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다. 넷째로, 3대가 함께 하는 가정은 효교육으로 도덕성을 회복하고 서로 협동함으로 써 자녀, 형제자매, 부부, 부모 등 ‘4대 사랑’의 실행으로 인류대가족의 올바른 인성 교육의 장으로 장려되어야 한다.
목차
Ⅰ. 서론
Ⅱ. 효정의 4유형
Ⅲ. ‘적극적 효정’의 인성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