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nalyzes Tom Hooper's film
한국어
본 논문은 과학적 분석과 인문학적 해석을 접목한 방법론으로 톰 후퍼 감독의 영화 <레미제라블>을 분석한다. 과학적 분석은 장마리 플로슈의 시각 기호학을 방법론으로 활용하고 인문학적 해석은 폴 리쾨르의 해석학 을 활용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플로슈의 시각 정체성과 리쾨르의 서사 정 체성을 통합하는 방법론이다. 본고는 공시적 차원에서 <레미제라블>의 스 토리를 분석하여 담화구조와 서사-기호구조를 도출하고 영화의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각 정체성과 준-상징적 체계를 도출하여 사랑과 자비라는 주 제와 그 아래 존재하는 자연과 문화의 조화라는 심층의미를 발견하였다. <레미제라블>의 서사 정체성은 장발장이 기존의 성격과 단절하여 새사람 이 되는 줄거리를 통해서 드러나는 성격과 자기보존의 변증법이다. 그리 고 장발장의 세계와 자베르의 세계가 마지막에 하나로 합쳐지는 줄거리에 서 드러나는 이질적인 것의 통합 역시 이 영화의 서사 정체성이다. 이 서 사 정체성은 심층의미인 자연과 문화의 조화와 연결된다. 본고는 통시적 차원에서 톰 후퍼 감독의 <레미제라블>을 전작인 빌 어거스트 감독의 <레미제라블>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후퍼의 영화가 전작의 시각적 형 태를 반전시켜 자신의 정체성을 차별화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레 비스트로스의 흥미로운 기호학적 현상에 해당한다. 이로써 본고는 자연과 학과 인문과학을 통합하는 영화분석 방식의 새로운 가능성을 도모했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향후 이러한 영화분석 방법론의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영화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목차
1. 서론
2. 텍스트 분석 방식
3. <레미제라블>의 담화구조와 서사 정체성
4. <레미제라블>의 서사구조와 기호구조
5. <레미제라블>의 이미지 구조
1) 계열체적 체계로서 미장센
2) 통합체적 과정으로서 몽타주와 롱테이크
6. <레미제라블>의 준-상징적 체계와 시각 정체성
7. 흥미로운 기호학적 현상
8.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