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3·1운동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 탄압 - 국사편찬위원회 삼일운동데이터베이스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Japanese military stationed in Korean Peninsula suppression of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김상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t the tim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Japanese troops stationed in the Korean Peninsula were in the process of becoming a resident. Unlike other divisions in Japanese army, they had mobilized troops from various parts of the Japan to fill them. In time for reside, Japanese troops were deployed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While the 20th Division was primarily a unit that was prepared for emergencies with China while focusing on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the 19th Division was a unit that was prepared for the war against the Russia while intervening in the problem of a facilitator in east Manchuria Province. However, such plans of the Japanese military have been delayed in large part due to the March 1st Mov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ook place during the Japanese military's resident status in the Korean Peninsula. Japanese troops stationed in the Korean Peninsula dispatched some troops to suppress them from the outbreak of the March 1st Movement. After the governor's order to suppress the Korean people was issued on March 12, he served as the main force to suppress the Korean people along with the police and military police while carrying out the decentralized deployment. This has even reached the point of sending an ad hoc Joseon dispatched infantry battalion in April. According to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s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Database System"(삼일운동데이터베이스), the role of the Japanese military stationed in Korean Peninsula during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was dispatched to various regions in the early stages of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indicating that the role of the Japanese military in the Korean Peninsula was largely played by the protesters. In addition, as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spread to different regions, it increased its role as a demonstration of power through decentralization, and it was seen that it took the lead in cracking down hard in late March and early April. The Japanese military in the Korean Peninsula suppressed the March 1st Movement, while simultaneously using it as an excuse to expand its military. With the completion of the resident status in 1920, the dispatch continued as it replaced the "Joseon Temporary Expeditionary Force." They were incorporated into the 19th and 20th Infantry Division under the Army's peacetime revision in 1920 and the Military Provisions in 1920, and were given the title of "Many fixed number organizations(高定員’ 편제)" for the Japanese military stationed in the Korean Peninsula. This movement was a setback for the Japanese military, which held the stage of the disarmament crisis since the end of the World War I, using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s an excuse. Based on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roops, the Japanese military stationed in the Joseon Dynasty has established itself as a military invading China, going beyond the suppression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Gando area.

한국어

3·1운동이 발발할 당시 조선 주둔 일본군은 ‘조선주차군’에서 ‘조선군’상주화 체제를 진행하는 과정이었다. 조선 주둔 일본군은 창설부터 일본의 다른 사단과는 달리 일본 내 여러 지역에서 동원하는 방식으로 병력을 충당했다. 상주화 시작에 맞추어 조선 주둔 일본군은 조선 전역에 배치되었다. 제20사단이 조선 내 치안에 중점을 두면서 주로 중국과의 위급상황에 대비했던 반면, 제19사단은 동만주 지방의 주선인 문제에 개입하면서 대 소련전쟁에 대비한 부대였다. 하지만 일본군의 이러한 상주화 계획과 배치는 한반도에서 벌어진 3·1운동으로 인해서 상당부분 지연되었다. 3·1운동은 조선 주둔 일본군의 상주화 과정에서 벌어졌다. 조선 주둔 일본군은 3·1운동의 발발부터 일부 병력을 파견하여 탄압했다. 또한 3월12일 총독의 진압명령이 이루어진 후에는 분산배치를 진행하면서 헌병, 경찰과 함께 조선인을 탄압하는 주역으로 활동했다. 이는 4월 임시조선파견보병대대를 파견하는 단계까지 이르렀다. 국사편찬위원회의 삼일운동DB관리시스템에 수록된 탄압정보의 추이를 보았을 때 3·1운동 시기 조선 주둔 일본군의역할은 3·1운동 초반에는 각 지역에 파견, 경계의 역할로 위력시위의 역할이 컸음을 알 수 있다. 또한 3·1운동이 각 지역으로 확산되자 분산배치를 통해 위력시위의 역할을 높였으며 3월 하순과 4월 초순에는 강경한 탄압에 앞장섰음을 알 수 있었다. 조선 주둔 일본군은 3·1운동을 탄압하면서 동시에 군대를 확장하는 빌미로 삼았다. 1920년 상주화가 완료되면서 ‘조선임시파견보병대대’를 교대하면서 지속적으로 파견을 이어갔다. 이들은 1920년 육군 평시편제개정, 1920년 군비충실요령에 따라 제19, 제20사단으로 편입되며 조선 주둔 일본군 ‘高定員’ 편제라는 명목을 만들게 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제1차 종료이후 군축분위기를 조선주둔 일본군은 3·1운동을 빌미로 삼아서 역행하는 것이었다. 병력증강을 바탕으로 조선 주둔 일본군은 간도참변, 간도지역 독립운동 탄압을 넘어서 중국침략을 대비한 군대로 자리매김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3·1운동 이전 조선 주둔 일본군의 상황
Ⅲ. 3·1운동 탄압과정에서 조선 주둔 일본군의 역할
1. 조선 주둔 일본군의 3·1운동 탄압에 따른 배치
2. 조선 주둔 일본군의 3·1운동 탄압상황
Ⅳ. 2개 사단체제의 완성과 군사력 확장
Ⅴ.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요약
Abstract

저자정보

  • 김상규 Kim, Sang-Kyu.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0,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