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DEA를 적용한 문화관광축제의 효율성 등급 예측모형

초록

한국어

문화관광축제는 지역 관광 활성화 및 외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를 통해 세계적인 축제 육성을 기본방향으로 하고 있다. 평가지표에 따라 매년 축제들 간의 평가를 통해 문화관광축제를 선정하며 축제의 기획 및 콘텐츠, 축제의 운영, 축제 발전 역량, 축제의 효과 등을 기준으로 대표축제, 최우수축제, 우수축제, 유망축제 등 4개의 등급으로 분류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등급별 분류는 축제의 효율성은 반영하지 않고 효과성을 기준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선정한 문화관광축제의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DEA(Data Envelopment Analysis)를 적용하여 효율성으로 등급을 분류하고 문화관광축제의 효율성 등급을 예측하고자 한다. 효율성 분석의 대표적인 방법 중 하나인 DEA는 새로운 평가 대상이 추가될 때마다, 상대적 효율성을 평가하기 위해 DEA 모형을 다시 적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효율성 등급 예측모형은 새로운 평가 대상이 추가되더라도 DEA 모형을 다시 적용할 필요없이 새로운 평가 대상의 효율성 등급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제공하는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된 최근 5년 간의 데이터와 매년 발간하는 문화관광축제 종합평가 보고서, 관광지식정보시스템의 자료를 이용한다. DEA 분석을 위해 투입 요소와 산출 요소를 선정하고 상대적 효율성에 따라 등급을 분류하고 로짓, 인공신경망 등을 적용하여 예측모형을 구축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2.1 문화관광축제
2.2 DEA
2.3 세분화 모형
Ⅲ. 연구 프레임워크
Ⅳ. 분석방법 및 결과
4.1 데이터
4.2 문화관광축제의 효율성 분석
4.3 효율성 기반의 세분화 모형
4.4 DEA 기반의 효율성 예측모형
Ⅴ. 결과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저자정보

  • 홍태호 부산대학교 경영대학
  • 김은미 경희대학교 호텔관광대학 스마트관광연구소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학술발표대회집, 워크숍 자료집 중 4페이지 이내 논문은 '요약'만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니, 구매 전에 간행물명, 페이지 수 확인 부탁 드립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